
센카쿠 분쟁 이번엔 ‘일본의 굴복’ 쉽지 않을 듯 … 물밑 타협 모색
하지만 중국은 2년 전 같은 속전속결을 자신하지 못하고 있다. 당시 일본을 굴복시킨 희토류 카드에 맞서 일본이 그동안 대비책을 강구해 온 데다 양국의 경제관계가 한쪽이 보복하면 다른 한쪽이 일방적으로 불리한 일방통행 구조가 아니기 때문이다.
중국은 그렇더라도 자신이 경제전의 최종 승자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발간하는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는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 훠젠궈(藿建國) 원장이 “중·일 경제가 모두 손해를 봤으나 경제 의존도로 볼 때 일본은 더 큰 피해를 보게 돼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누가 더 피해를 보느냐는 계량하기 쉽지 않은 문제다. 경제규모 세계 2, 3위 국가인 중국과 일본의 산업과 교역은 고통이든 이익이든 일방의 몫이 아닌 양국이 분담하는 구조다. 중국은 일본의 자본과 기술에 크게 의존해 왔다. 일본은 미국·유럽연합(EU)에 이어 셋째로 큰 중국의 수출 상대국이다. 게다가 일본의 대중 투자액은 1996년 이래 830억 달러에 달한다. 반면에 중국에서 일본으로 투자된 것은 지난해 말까지 총 5억6000만 달러에 그쳤다.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22일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내 폭력 시위와 비공식적인 무역제재 조치 등 과도한 반응이 투자자들을 공포로 몰아넣어 중국 경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런 일들은 양국에만 나쁜 것이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나쁘다”고 말했다.
일본에도 중국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중국은 일본의 최대 교역국이다. 지난해 대중 교역액은 일본 전체 교역액의 21%(3450억 달러)에 달했다. 중국은 첨단 장비 등 일본의 비싼 수출품을 사주는 최대 시장이다. 투자 이익도 막대하다.
결국 중국과 일본의 경제는 상호의존적이다. WSJ는 “태블릿 단말기에서 자동차까지 모든 제품의 공급망은 일본과 중국 간 부품과 소재의 교역에 의존한다” 고 지적했다.

뒤틀린 양국 관계를 ‘관리’하겠다는 움직임은 중국 측에서도 나왔다. 지지(時事)통신은 “중국은 27일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전 총리와 다나카 마키코(田中眞紀子·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딸) 전 외상,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전 경제산업상 등 15명 내외를 중국에 초청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대부분 일본 내에서 친중 인사로 분류되는 정치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