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안철수 ② 단일화 ③ 네거티브 ④ 당일 투표율 ⑤ 대북·대일관계
현재로선 대선 90일 전(D-90)이자 추석을 일주일쯤 앞둔 20일 전후로 안 원장이 출마선언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변 인사들은 전한다. 출마 ‘변수’가 ‘상수’(常數)로 바뀌면 다음은 민주당 후보와의 단일화가 변수로 떠오른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안철수 원장, 그리고 민주당 후보가 붙는 3자 구도에선 박 후보의 승리 가능성이 높다. 양자구도가 돼야 ‘51대 49’ 싸움이 가능하다는 게 야권의 일반적 분석이다.
문제는 단일화의 방법이다. 안 원장과 민주당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클 경우 후보 간 담판으로 전격 단일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양측은 공동정부 구성에 합의할 공산도 있다. 담판을 통한 단일화는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박원순 후보와 안 원장 간 협상 모델이 있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 단일화처럼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을 경우 여론조사를 채택할 수 있다.
단일화 이후 여야 후보 1대1 대결에선 네거티브 공방이 어느 때보다 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검증론의 표적은 안 원장을 향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지난 6일 안철수 원장 측 금태섭 변호사와 박근혜 후보 측 정준길 전 공보위원이 ‘불출마 협박설’을 놓고 예고편을 보여줬다.
네거티브의 파괴력이 얼마나 클지는 미지수다. 룸살롱, 딱지 등 안 원장을 겨냥한 잇단 검증 공세가 시도됐지만 지지율 변화폭이 크지는 않은 상황이다. 윤종빈(정치외교학) 명지대 교수는 “과거 행적을 따지는 네거티브보다 정책 비전과 역량을 점검하는 미래지향적 후보 검증이 호소력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12월 19일 대선 당일 투표율이 박빙선거였던 2002년(70.8%)처럼 70%를 넘어설지도 관심거리다. 70% 투표율일 땐 4·11총선 유권자 수(4020만 명)를 기준으로 1407만 표(득표율 50% 선)를 확보하는 후보가 당선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부소장은 “ 10년간 유권자 고령화로 2030세대는 140만 표가 줄고, 5060세대는 570만 표가 늘어났기 때문에 투표율이 70%를 넘더라도 여야 어느 쪽에 유리하다고 예측하기 힘들다”며 “40대에서 승부가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제 상황과 남북 관계 등의 경우 대선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과 이미 면역성이 커져 큰 변수가 안 된다는 시각이 엇갈린다.
양원보·정효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