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에 휩싸인 대선

다만 지난 6일 자신의 측근인 금태섭 변호사가 ‘불출마 협박’ 폭로 회견을 계기로 정치권에선 안 원장의 출마선언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늦어도 추석 이전엔 거취를 표명할 것이란 말도 나온다.
그러나 모두 주변의 전언일 뿐 당사자의 입에선 한마디도 나온 게 없다. 이런 시간이 길어지는 데 대해 비판적인 시선도 적잖다. 신율 명지대(정치학) 교수는 9일 “유력 대선주자라는 사람이 아직까지 출마선언도 안 한다는 것은 비정상도 보통 비정상이 아니다”며 “검증을 피하려고 시점을 늦춘 것 같은데, 여기저기서 검증이 시작된 만큼 더 이상 출마선언을 늦출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인물의 불확실성은 구도의 불확실성으로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박근혜-안철수-민주당 후보’의 3자 구도가 될 경우 고정 지지층이 튼튼한 박 후보의 우세를 예상하고 있다. 야권은 2002년 대선처럼 이번에도 안 원장과의 단일화를 통해 박 후보와 양자 대결 구도를 만드는 데 올인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누가 야권 단일화 후보로 적합한지는 야권 전략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의 이택수 대표는 “민주당 경선 1위를 달리는 문재인 후보는 안정성은 있지만 폭발력이 부족하고, 안 원장은 확장성이 강점이지만 아직 검증받지 않았다는 게 문제”라고 분석했다.
민주당 주류는 문 후보가 야권 단일후보가 되고, 안 원장이 그를 돕는 그림을 염두에 두고 있다. 하지만 안 원장 지지율이 문 후보보다 더 높다는 게 걸림돌이다. 안 원장이 출마를 선언한 뒤 무소속으로 뛸지, 제3당을 창당할지, 민주당에 입당할지에 따라 선거 구도는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구체적이고 뚜렷한 이슈도 아직 떠오르지 않았다. 복지와 경제민주화라는 거대담론을 내세운 박 후보가 새누리당의 노선을 전반적으로 좌클릭하면서 여야의 정책적 차별성이 희석된 게 한 요인이다. 박 후보는 ‘충청권 행정수도 건설’ 처럼 대선판을 뒤흔들 메가톤급 대선 공약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정책의 실현 가능성을 중시한다는 게 박근혜 캠프의 설명이다.
김정하·양원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