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감원 “협의 이뤄지도록 지원”

해외건설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쌍용건설은 현재 동남아와 중동에서 3조원 규모의 공사를 수주했거나 진행 중이다. 특히 동남아와 중동에서 고급 호텔을 짓는 건설사로 알려져 있다. 김태엽 해외건설협회 정보기획실장은 “쌍용건설이 수주를 앞두고 있는 것만 96억 달러 규모”라며 “이런 회사가 흔들리면 해외 시장에서 국내 건설사의 신인도가 하락하는 것은 물론 해외건설 중흥에도 찬물을 끼얹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회생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평가된다. 쌍용건설은 올 상반기에만 남산반야트리호텔, 종로 오피스빌딩 등 9개 PF 사업장을 정리했다. 지난해 말 1조1000억원에 달했던 PF 규모가 6월 말 절반 수준인 5700여억원으로 줄었다. 2007년 말 3000가구가 넘었던 미분양 주택도 370가구로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쌍용건설은 사실상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회사인 데다 법정관리로 갈 경우 채권단 손실이 커지는 만큼 채권단이 어떻게든 해법을 내놓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제는 시간이다. 쌍용건설과 업계는 자금지원이 늦어질 경우 하청업체 부도와 공사 중단 등 경영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쌍용건설은 이미 지난달 말에 주기로 했던 하청업체 공사대금 540억원을 주지 못하고 있다. 10일까지 대금 지급이 안 될 경우 하청업체들의 어려움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것이다. 채권단은 상대적으로 느긋하다. 캠코가 급한 자금을 우선 지원키로 한 만큼 4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는 월말까지 지원계획을 확정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캠코와 산업은행, 시중은행들은 자금 지원의 전제조건과 분담비율 등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자금 지원이란 큰 틀엔 이견이 별로 없지만 누가 얼마를 지원할지 등 각론을 놓고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쌍용건설 이효연 부사장은 “회사의 성장 동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유동성 지원을 받는다면 조속히 정상화할 수 있다”며 “전사적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나현철·황정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