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들 격론 오간 의제들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해선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지 유의해야 한다는 데엔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그러나 방법론엔 차이가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새누리당이 입안한 ‘북한인권법’의 취지를 살려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정부의 역할은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의사표시를 하는 것에 그쳐야 한다고 밝혔다. 남측이 지나치게 이를 국내 정치 이슈화하는 것은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데 전략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다.
일부 학자들이 흡수통일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고 주장해 이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한 토론 참가자는 “자유민주주의 통일은 김영삼 정권과 이명박 정부에서 확인했고 한·미 간 가치동맹이 이루어졌다”면서 “이에 역행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흡수통일은 정부가 비상대책의 하나로 다루어야지 공식화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쪽으로 어렵사리 의견이 모아졌다.
남북 기본조약 체결 제안에 대해서도 일부 학자들은 반대표를 던졌다. ‘분단 고착화 아니냐’는 의혹을 받을 수 있다는 견해다. 유호열 고려대 교수는 “6·15의 과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도 헌법과 배치되는 부분이 무엇인지 짚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반도포럼은 ‘유 교수 등의 지적에 유의하되 평화와 통일을 위한 남북관계의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위해선 기본조약 체결이 불가피하다’는 선에서 의견 접근을 보았다.
안희창 통일문화연구소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