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원전 안전 진단했지만 … 압력 용기 등 총체적 점검 안 해
IAEA 점검 결과는 우리나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정밀 진단에서 대부분 문제점이 드러났던 것들이다. 대정전에 대한 보고 규정에 대한 위반과 비상 디젤발전기의 공기 압축 밸브 이상이 발견됐고, 새것으로 교체하기로 했다고도 발표했었다. 원전 종사자들의 안전의식과 협력 업체들의 관리·감독이 부실했다는 문제점도 이번 결과 발표에서처럼 똑같이 원자력안전위원회 점검에서도 지적됐었다.
문제는 고리 1호기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다. 고리 1호기의 폐쇄를 주장하고 있는 환경단체와 일부 지역 주민, 일부 정치인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IAEA의 단편적인 점검만으로는 불안을 해소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이다. 주민 불안을 해소하려는 점검이라면 최소한 핵심 부품은 모두 살펴봤어야 했다는 게 원자력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사실 2007년 고리 1호기의 수명 연장을 위한 점검 때는 18개월 동안 200여 명의 전문가가 투입돼 16개 분야 112가지를 정밀하게 살펴봤다. 원자로에서부터 각종 파이프·나사에 이르기까지 어느 것 하나 뒤집어 보지 않은 것이 없었는데 이번 점검이 더 나은 게 없다는 평가도 있다.
IAEA 리파 조사단장이 “원전 안전뿐 아니라 중고 부품 등 그 외 사고까지 조사하라고 (주민 또는 환경단체가) 하는 데 극단적이다”고 말한 대목에서도 한국수력원자력이 주민들의 분위기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IAEA가 안전 점검 결과를 본부에 보고한 뒤 한국수력원자력 측에 권고 사항으로 전달할 예정이지만 실효가 적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수원 설동욱 홍보실장은 “일부에선 8일간 현장을 보고 어떻게 안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느냐고 말하고 있지만 점검단은 현장 방문 전 2개월 동안 방대한 자료를 요청해 검토했다”고 말했다.
울산=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