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26만원으로 늘어나
학생수 감소, 총액 줄었으나
정부 1조원 경감 대책 실패
지난해 초·중·고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4만원이었다. 초등생과 고교생의 사교육비는 감소했으나 중학생은 2010년 25만5000원보다 2.7% 증가했다.

한 입시학원 관계자는 “고등학교는 학생들을 늦게까지 ‘자율학습’에 잡아놓기 때문에 중학교 때 사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가정이 많다”며 “특히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아이의 실력과 관계없이 기대감이 커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사교육을 받는 비율은 중학생이 71%로 고교생(51.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로는 영어·수학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15만1000원으로 2010년 14만8000원보다 불어났다. 정부가 영어·수학 등 과목별 사교육비 경감을 외치고 있으나 약발이 먹히지 않는 것이다.
◆학부모들 “부담 많아졌다”=학부모와 관련 단체들은 정부 통계를 믿지 않는 분위기다. 사교육계에선 “정부는 사교육비를 20조원대로 발표했으나 통계에 잡히지 않는 부분을 감안하면 35조원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실제 정부가 발표한 사교육비 규모에는 유치원생이나 재수생의 사교육비가 빠져 있다. 초·중·고교생의 방과후 교육 활동비, EBS 교재비 등도 ‘사(私)부담 공교육비’라는 이유로 제외했다. 규모가 큰 어학연수비는 ‘사교육비라기보다는 자기계발 비용 성격이 강하다’는 이유로 집계에서 빠졌다.
한국교총·전교조 등 교원단체는 “정부 발표대로 사교육비가 줄었다 하더라도 정책 효과라기보다는 고물가·가계부채 때문일 것”이라는 입장이다. 16일 미래기획위원회 주최로 열린 공개 토론회에서도 학부모들은 이주호 장관을 비판했다. 학부모들은 이 장관에게 “내신·논술·수능 등 복잡한 대입제 때문에 ‘죽음의 7종경기’를 치르느라 사교육이 더 늘었다”고 성토했다. 한 학부모는 “네 자녀를 기르는 동안 입시가 세 번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한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