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총선 공약 ‘재원 방안’ 검증한다60일 전까지 이행계획 선관위에 제시해야 … 세금낭비 공약 원천봉쇄
이들 선거공약은 ‘선거공약검증위원회’가 검증한다. 검증위는 국회 교섭단체(의원 20명 이상을 가진 정당)들이 각각 추천하는 위원 1명을 포함해 중앙선관위가 위촉하는 9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검증위는 정치·경제·복지·외교·국방 등 분야별 전문가로 공약평가단을 구성해 ▶예산 산정의 정확성 ▶재원 조달 방법의 적정성 등의 공약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그리고 결과보고서는 인터넷과 언론에 공개한다.
이렇게 공개되는 공약검증보고서를 통해 정당·후보자별 공약이 과장된 것인지, 실현 가능한 것인지 등에 대해 유권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한다는 게 선관위의 구상이다. 선관위는 공약의 사전 검증을 기피하는 정당·후보자에 대해선 선거기탁금(대선 5억원, 시·도지사 5000만원, 국회의원 1500만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과태료를 물리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선관위의 개정의견에는 후보자가 선거에서 당선된 뒤에도 매년 연말마다 공약이행 상황을 제출하도록 하는 내용도 들어 있다. 강지원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상임대표는 “선거 때 제대로 공약을 검증한다면 전국적으로 세금 낭비는 대폭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신용호·정효식 기자
◆매니페스토(Manifesto)=선거공약을 예산과 재원 마련 방안 등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공표하게 하는 ‘참공약 실천운동’을 말한다. 유권자를 현혹하고 세금낭비만 가져오는 ‘헛공약’을 가려내자는 취지다. 중앙일보는 2006년 5·31지방선거 때부터 ‘한국매니페스토 실천본부’와 함께 이 운동을 벌여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