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5일부터 27일까지 24시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 종합상황실은 서울시청 당직실에 설치되며 교통대책반·안전대책반·의료대책반을 함께 운영한다. 부산시는 21일부터 3일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 교통대책반·보건대책반·소방행정반 등 7개 반으로 나눠 긴급민원 사항을 처리한다.
인천·대전은 구·군 보건소별로 ‘비상진료대책 상황실’을 운영한다. 응급의료기관과 종합병원은 명절연휴 기간에도 응급환자 진료를 할 수 있도록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다. 응급의료기관이 아닌 병·의원과 약국은 교대로 대기한다.
대전·충남·경기는 교통정보를 상세히 제공한다. 대전교통대책상황실과 충남종합상황실은 우회도로를 안내한다. 경기도는 연휴기간 동안 특별교통대책본부를 설치하고 라디오 교통방송(1688-9090), 인터넷(gits.gg.go.kr), 트위터(@16889090)를 이용해 주요 도로의 교통상황을 안내한다.
제주도를 찾는 귀성객이나 휴양객은 공항의 특별수송대책상황실에 전화하면 항공기 운항 정보와 운항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다. 제주도는 관광불편신고센터(064-746-0101)도 운영한다.
귀성객은 지역과 상관 없이 응급환자정보센터 전화번호(국번 없이 1339번)을 기억하면 응급 처치나 후송이 필요할 때는 물론 문을 연 약국을 알고 싶을 때 요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휴대전화로 걸 땐 앞에 지역번호를 붙여야 한다. 가스 불을 켠 채 귀성길에 나섰거나 문단속 등이 염려되면 소방안전재난본부에 연락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태희 기자·[전국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