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사실상 부활’ 의미
사실 이명박 정부 들어 국가 R&D의 중심축이 사라졌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컨트롤 타워 격인 과학기술부가 교육인적자원부와 합쳐져 과학 정책은 대학 입시나 사교육 대책 같은 교육 현안에 밀리기 일쑤였다. 더욱이 부처마다 제각각 R&D 계획을 세워 추진해 중복과 낭비 우려를 낳았다. 명목상 과학계의 최고 의결기구인 국과위는 ‘통과위’로 전락했다. 상설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도 비상설기구로 격하됐다. 그러던 차에 정부가 국과위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안을 들고 나온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박영아(한나라당) 의원은 당정 협의 과정에서 국과위 기능을 정부안보다 더 강화하라고 주문했다. 국과위 상설기구의 위원장을 장관급 이상인 부총리급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다른 부처 장관에게 휘둘리지 않고 약 14조원에 달하는 국가 연구개발비를 제대로 편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다.
연구소 통폐합에 대해서는 연구원 종사자들의 반발이 표면화되고 있다. 수십 년 쌓아온 연구소 브랜드 가치와 노하우가 힘을 쓰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성과가 저조한 연구인력이나 중복 행정지원 인력을 줄여 연구기관 운영을 효율화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 판단이다. 연구소로서는 통폐합할 경우 이래저래 큰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연구소 대수술 방침은 조용히 추진되기 쉽지 않아 보인다.
국과위 기능 강화안 중 정부 R&D 예산 편성권을 기획재정부로부터 가져오는 것도 쉬운 문제는 아니다. 노무현 정부 때도 수차례 시도했지만 무위로 끝났다. 재정부가 고유권한인 정부 예산 편성권을 쉽사리 내놓을지 주목된다. 이번 정부안이 확정 시행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과학기술기본법·정부조직법 등 대여섯 가지의 법을 개정하고, 이 과정에서 부처 간 협조가 원만하게 이뤄져야 한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