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오른쪽)은 2019년 대검 과거사진상조사단 활동과 관련해 조사단 소속 이규원 검사가 윤중천 면담보고서를 허위 작성해 유포했단 의혹에 연루돼 검찰의 수사 대상에 올라 있다. 사진은 지난해 8월 10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한 이 비서관의 모습.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4/09/e947af09-3163-47d1-992d-9576f19408d3.jpg)
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오른쪽)은 2019년 대검 과거사진상조사단 활동과 관련해 조사단 소속 이규원 검사가 윤중천 면담보고서를 허위 작성해 유포했단 의혹에 연루돼 검찰의 수사 대상에 올라 있다. 사진은 지난해 8월 10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한 이 비서관의 모습. [연합뉴스]
김학의 출금사건 수사팀 겨냥
박 장관 “진상 조사하겠다”
검찰은 “수사는 수사대로 계속”
이광철 민정비서관 소환 검토
이 비서관은 김 전 차관 불법 긴급 출국금지(출금) 의혹 사건에도 이름을 올리고 있다. 김 전 차관이 해외출국을 시도했던 2019년 3월 22일 밤 그가 이규원 검사, 차규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등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불법 출금을 직접 조율한 정황이 포착되면서다.
이 비서관 연루 의혹들은 법무·검찰 간 갈등의 대상으로 비화한 상태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6일 김 전 차관 사건과 관련한 이 비서관과 윤 총경의 텔레그램 대화 내용 등 청와대 기획 사정 의혹을 뒷받침할 세부 내용이 보도된 걸 두고 “피의사실 공표로 볼만한 보도가 이어지고 있어 묵과하기 어렵다. 진상을 확인해 후속 조치를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검 과거사진상조사단에서 활동했던 박준영 변호사는 7일 SNS에서 “사법 농단 등 정권에 유리한 수사 때도 수사 내용이 언론에 보도됐지만, 여당·법무부·청와대는 침묵했다”며 “‘피의사실 공표 금지’의 강조 또는 침묵이 원칙 없이, 이해관계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며 꼬집었다. 이에 대해 박 장관이 8일 “나는 일관되게 피의사실 공표에 대해 지적해왔다. (‘내로남불’ 비판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재반박하는 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수사팀은 “논란과 관계없이 수사는 수사대로 한다”는 입장이다. 수사팀은 이 비서관 소환이나 증거 확보를 위한 강제 수사 착수 등을 검토 중이다. 법조계에서는 선거에서 여당이 패배하면서 수사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하준호 기자 ha.junho1@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