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덕신공항이 들어설 예정인 부산 강서구 대항마을에 4일 다세대주택 공사가 한창이다. 사진 이은지 기자
가덕도 땅 소유한 외지인, 택지 분양권 노리고 주택 지어
최근 6개월간 대항마을 신축 허가 29건…입주민 100여명 늘어
부산 강서구청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지금껏 이 마을에 허가된 건축 신고는 29건이다. 허가 심사 중인 23건까지 합치면 건축 신고는 총 52건에 달한다. 이 기간 대항마을 주민도 350여명에서 450여명으로 100명가량 늘었다.
대항마을뿐 아니라 가덕도 전체에 난데 없는 공사 바람이 불고 있다. 올해 1월부터 지금껏 가덕도에 허가된 건축 신고는 28건. 지난해 같은 기간 10건과 비교하면 3배가량 늘었다. 지난 2019년 16건에 그쳤던 건축 허가는 지난해 50건으로 증가했다.

가덕신공항이 들어설 부산 강서구 대항전망대 인근에 가덕신공항을 반대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은지 기자

가덕도 사유지 외지인 소유 현황
외지인의 토지소유는 가덕도가 신공항 후보지로 거론된 지난 2009년부터 급격하게 늘기 시작했다. 당시 가덕도 땅 가운데 소유권이 변경된 토지 295만㎡ 중 244만㎡(83%)가 외지인 소유로 바뀌었다. 당시 대항마을에서 조망권이 확보된 입지는 한평(3.3㎡)당 500만원에, 일반 주택 용지는 평당 150만원 수준에 거래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부산에서 열린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 전략 보고’에 참석, 어업지도선을 타고 가덕도 공항 예정지를 시찰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가덕신공항이 들어서면 관광도시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천성마을은 조망이 좋은 입지의 경우 평당 2000만원 수준에 거래되고 있다.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평당 200만원 수준이었다고 한다. 천성마을 인근 B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대항마을은 가덕신공항 부지로 수용되지만, 천성마을은 원주민 이주 택지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다”며 “여기에 관광 수요가 더해질 것으로 보고 땅값이 치솟고 있다”고 말했다.
생계 터전을 잃고 쫓겨날 처지에 놓인 가덕도 주민은 가덕신공항 건설을 반대하고 나섰다. 대항마을 주민 300여명은 가덕신공항 반대 대책위를 꾸리기로 했다. 황영우 가덕신공항 반대 비상대책위원장은 “평생 배운 게 고기잡이인데 여기서 쫓겨나면 생계가 막막하다”며 “정부가 평당 1000만원씩 이주 보상금을 주더라도 4억~5억원 수준이어서 이 돈으로 부산 지역 내 집 한 채 사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황영우 가덕신공항 반대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대항항전망대에서 가덕신공항 반대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이은지 기자
부산=이은지 기자 lee.eunji2@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