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단체·전직 장관들, 물납제 호소
간송미술관 불상 경매가 불 댕겨
물납제 도입 논의는 지난해 간송미술관이 재정난에 시달리다 국가 보물로 지정된 불상 2점을 경매에 내놓은 일이 큰 충격을 안기며 본격적인 불을 댕겼다. 건의문에 따르면 현재 국보와 보물을 포함해 전체 국가지정문화재 4900여건의 절반 이상이 개인 소유다. 건의문은 또 시·도지정문화재 9300건 중에도 개인소유가 상당하고, 전국 사립박물관·미술관 540여 곳의 소장 자료 440만 건 중에도 가치 높은 미술품이나 장차 문화재로 지정될 만한 소장품이 상당수라고 추정했다.
문화단체들과 전직 장관들은 건의문을 통해 “하지만 아쉽게도 수집가의 열정과 희생으로 지켜낸 귀중한 문화재나 뛰어난 작품 중 상당수가 재산 상속 과정에서 제대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채 급히 처분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심지어는 해외 수집가의 품으로 흘러 들어가 귀중한 우리 문화유산과 미술품이 국내에 소장되지 못하고 여기저기 흩어지는 안타까운 경우도 있는 실정”이라며 “이와 같은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현재 주요 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상속세 물납제도’의 도입”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국회에 관련 세법의 조속한 개정을 촉구하는 한편 문화체육관광부·기획재정부·국세청 등 관련 정부부처의 적극적인 후속 조치를 요구했다. 이번 건의문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한국미술협회·한국박물관협회·한국사립미술관협회·한국조각가협회·한국고미술협회·한국화랑협회·인사전통문화보존회·한국판화사진진흥협회·한국미디어아트협회·한국박물관협회 등 각 문화예술단체 대표와 김영수·송태호·김성재·정동채·김종민·정병국·유진룡·박양우 등 전직 문화부 장관들의 연명으로 발표됐다.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julee@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