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검찰총장. 임현동 기자
3일 대구에서 추가 입장 낼듯
윤석열의 마지막 ‘중수청’ 전쟁?
윤 총장은 지난 1일 언론 인터뷰에서 “지금 추진되는 (중수청) 입법은 검찰 해체”라며 “민주주의라는 허울을 쓰고 법치를 말살하는 것이며, 헌법 정신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그는 여권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박탈)’ 움직임에 대해 “검찰을 흔드는 정도가 아니라 폐지하려는 시도”라며 “갖은 압력에도 검찰이 굽히지 않으니 칼을 빼앗고 쫓아내려 한다. 원칙대로 뚜벅뚜벅 길을 걸으니 아예 포크레인을 끌어와 길을 파내려 하는 격”이라고 했다.
검찰 내부 “중수청, 일제 경찰”
앞서 박철완 대구지검 안동지청장(사법연수원 27기)도 지난 26일 “중수청 설립은 범죄 대응 능력에 커다란 공백을 초래할 것”이라며 “중수청과 공소청 설치 여부는 평검사 회의가 아니라 전국 검사회의를 개최해 의견을 모아야 한다”고 적극 대응을 촉구했다.
여권이 중수청 설치 움직임을 이어갈 경우 검찰 내 집단 반발의 수위가 ‘윤 총장 찍어내기’ 당시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윤 총장 징계 당시 전국 59개 검찰청 평검사들은 “윤 총장 직무배제는 위법‧부당하다”는 뜻을 모았다.

‘검찰’없는 여권의 중대범죄수사청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3일 대구고검 尹 ‘입’에 관심
윤 총장이 직접 언론 인터뷰까지 한 상황인 만큼 이날도 뚜렷한 목소리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 검찰 내부 목소리를 결집하는 일종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대검이 취합 중인 중수청 관련 검찰 내부 의견도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공교롭게도 대구지검은 ‘살아있는’ 권력 수사를 하다가 지방으로 밀려난 검사들 다수가 몸담고 있다.
김태은 대구지검 형사1부장은 서울중앙지검에서 ‘청와대의 울산시장 선거 개입 사건’의 주무 부장이었다. 고형곤 대구지검 반부패수사부장 검찰은 정권의 ‘눈엣가시’가 된 계기인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 비리 사건’을 수사했었다. 윤 총장 역시 박근혜 정부 때인 2013년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당시 ‘수사 외압’을 폭로한 이듬해 ‘좌천성 인사’를 받고 대구고검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수민 기자 kim.sumin2@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