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중구 동인동 대구시청사.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3/02/37eb01e9-9db5-4841-80d8-82ff8cfd4379.jpg)
대구시 중구 동인동 대구시청사. [중앙포토]
기본계획 초안 공개… 7개 자치구 10개 시 14개 군
교수, 시민단체 대표 등 30명으로 꾸려진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는 2일 대구시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3차례 열린 온라인 시·도민 열린 토론회 내용과 찬반 여론조사, 지역별 발전계획 등을 종합해 만든 TK행정통합 기본계획 초안을 완성했다"고 밝혔다.
공론화위는 초안에서 TK 행정통합안을 '대구경북특별광역시'와 '대구경북특별자치도'로 나눠 제안했다.
특별광역시안에선 광역은 광역, 기초는 기초로 동일 지자체 대응 통합 방식을 적용해 합친다. 현재 대구·경북 31개 지자체를 대등한 지자체끼리 묶어 7개 자치구, 10개 시, 14개 군으로 재편하는 게 특징이다.
![경북 안동시 경북도청 청사 전경.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3/02/c621cc95-2802-4889-8663-9186fa52b7f3.jpg)
경북 안동시 경북도청 청사 전경. [중앙포토]
공론화위는 지역 발전을 위한 부문별 전략도 초안에 담았다. 대구는 제조서비스와 금융, 문화 등 고부가가치서비스업을 육성하고, 경북은 제조업과 친환경 고부가가치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했다. TK 통합형 문화관광 정책을 펼쳐 수도권과 경쟁해야 한다는 내용도 더했다. 도농 간 복지서비스 격차 완화 등도 기본계획 초안에 포함됐다.
공론화위 측은 "통합 지자체는 사무·재정, 권한의 배분, 주민참여 강화를 목표로 하고, 주민참여는 주민총회 제도 도입 같은 주민 직접자치 영역을 지향한다"고 설명했다.
대구=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