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1주간(2.21~27) 하루 평균 국내 코로나19 환자는 370명으로, 직전 주(455명)보다 약 19% 감소했다. 감염재생산지수도 전국적으로 1.0 정도로 전주보다 소폭 하락했다. 수도권도 1.0 아래로 떨어져 확산 추이는 지난주보다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당국은 평가했다.

(서울=뉴스1) 민경석 기자 = 정부가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단계인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3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유지한다.
그러나 수도권의 하루 평균 환자는 지난주 280명 정도로 여전히 많은 상황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8일 중대본 브리핑에서 “수도권의 유행 규모가 하루 200명 이내로 진입해야 위험도가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며 “현재로써는 언제든지 다시 유행이 확산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생활공간에서 산발적으로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며 “3차 유행이 재확산된 경향은 나타나지 않지만, 매일 300~400명대 많은 환자가 발생하며 정체 국면을 보인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조금만 긴장을 푼다면 다시 재확산될 위험성은 여전하다. 특히 수도권은 아직은 엄중한 상황”이라며 “정체세를 보이는 3차 유행이 다시 뚜렷한 감소세를 보일 수 있도록 협력해달라”고 당부했다.
3·1절 서울에서 1670건(26일 기준)의 집회 신고가 접수된 데 대해서도 우려했다. 손 반장은 “다양한 지역과 생활공간이 서로 다른 다수의 사람이 함께 모이는 경우 감염 위험도는 훨씬 커진다”며 “큰소리로 함께 소리를 치거나 구호를 외치는 행위, 함께 식사하고 대화를 나누는 행위 등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이어 “가급적 집회를 취소해달라”며 “수도권은 위험성이 크므로 집회를 할 경우 최소한도의 인원을 유지할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 도심 내 집회금지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뉴스1
요양병원 전담 공무원 정해 관리 강화
중대본은 “간병인의 순환방식 근무는 지양하고, 가급적 특정 병실 전담제로 운영할 수 있도록 권고한다”고 밝혔다.
당국에 따르면 최근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검사를 주기적으로 하는 등 관리를 강화한 결과 요양병원 집단감염은 지난해 12월 15곳에서 1월 9곳, 2월 4곳 등으로 줄었다. 요양병원당 확진자 규모도 지난해 12월 평균 74명 환자 발생에서 주 2회 선제 검사를 시작한 1월 11일 이후로 건당 21명으로 감소한 상태다.

22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요양병원. 뉴스1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