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제정 이후 21년 만에 전면 개정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제주 4 ·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전부개정법률안이 의결되고 있다. 뉴스1
희생자 유족에 대한 배보상 명문화

2019년 제주 4·3 추념식 참석자들이 위패를 확인하고 있다. 최충일 기자
이를 위해 정부는 ‘민주화운동 보상 3법 등 입법사례’, ‘한국전쟁 후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 배·보상 관련 발의 법안’ 등 국내 사례를 우선 살핀다. 이와 함께 독일과 대만 등 해외 과거사 사건 피해자 배·보상 사례도 참조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경제적 배·보상과 관련해 금액, 구체적 산정 기준, 지급 방식, 지급 대상 등에 대해 유족들과 논의를 검토하고 있다.
오영훈 "73년 한 해결 마침내...정부 배상 수용 의미 커"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제주 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전부개정법률안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뉴스1
슬픈 과거사 치유 움직임 가속도 붙어
![지난해 제72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 [제주도]](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26/3364293e-4332-446f-b4fb-4921f037fcc8.jpg)
지난해 제72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 [제주도]
또 일반재판 수형인 희생자는 개별 특별재심을 권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재심을 신청해 개시까지 1년 안팎의 시간이 걸리고 또 최종 결정까지 2년이 넘게 걸리던 재심 재판의 소요 기간이 단축된다.
제주 4·3 정명 찾는 진상조사에도 힘

2019년 제주 4·3 추념식 참석자들이 헌화하고 있다. 최충일 기자
막대한 예산 지출 불가피한 점 과제로
![지난해 열린 제72주년 4.3 희생자 추념식. [제주도]](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26/178e4321-9e30-4c50-92fd-9d3a1ff4ded5.jpg)
지난해 열린 제72주년 4.3 희생자 추념식. [제주도]
오임종 4·3유족회장은 “국가가 잘못된 공권력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면서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과 명예회복의 길이 열렸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시민사회단체도 환영했다. 전국 시민사회단체와 제주도 등 공공기관, 여·야 도당 등 124개 기관·단체가 참여한 ‘제주4·3특별법 개정 쟁취 공동행동’은 26일 논평을 내고 “이번 4·3특별법 개정은 4·3희생자 등을 위한 배·보상 문제 해결의 전기가 마련될 것이고, 4·3 추가 진상조사를 위한 진전된 방안도 마련됐다”고 밝혔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4·3특별법 제정까지 52년, 또 한 걸음 내딛는데 21년의 세월이 걸렸다. 이 길이 4·3의 완전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겠다”며 “4·3희생자와 유족들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현실적 피해보상을 실현하고, 진정한 과거사 청산이라는 모두의 바람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약속했다.
제주=최충일 기자 choi.choongil@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