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방역 물품이 비치돼 있다. 비대면 수업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학부모들은 교문을 열기를 바라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23/081bc145-33b6-45b4-8766-41d76e331be9.jpg)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방역 물품이 비치돼 있다. 비대면 수업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학부모들은 교문을 열기를 바라고 있다. [연합뉴스]
비대면 수업의 부작용 고착 우려
교사 백신 우선접종도 검토할 만
악몽 같은 지난해 경험 때문에 학부모들은 코로나 확진자 수에 따라 오락가락하는 학교 방역 정책의 근본 수술을 촉구한다. 안전 확보를 전제로 교문을 열어 놓는 대원칙을 세우기 바란다. 한 조사에 따르면 교사들도 약 60%가 등교 확대에 찬성하고 있다. 초·중·고뿐 아니라 대학도 대면 수업을 마냥 미루기만 할 일이 아니다. 일부의 감염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당국자들이 교육의 가치를 등한시해서는 곤란하다.
유네스코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210개국 중에서 절반이 넘는 115개국이 전면 등교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보다 하루 확진자가 13배나 많은 프랑스가 전면 등교를 유지하는 사실을 참고할 만하다. 교문을 닫았을 때 잃는 것이 더 많다는 실증적 경험과 연구가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방역을 제대로 할 경우 등교하더라도 감염 위험이 우려만큼 높지 않다는 경험도 있다. 미국이 대면 수업을 위해 교사들에게 백신 접종을 먼저 해주는 정책도 참고할 만하다. 그런데 한국 정부는 중증 환자와 의료진을 우선하는 단선적 백신 정책에 머물고 있다.
영국의 한 글로벌 경제분석 기관은 한국·싱가포르·대만·호주·뉴질랜드·일본 등 대다수 선진국은 2022년 중반에야 인구의 60~70%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갖게 될 거라고 전망했다. 9월까지 국민 70% 이상에게 백신 접종을 완료해 11월에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제시한 한국 질병관리청의 전략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집단면역 형성이 늦어져 다음 겨울에도 코로나를 통제하지 못하면 내년에도 전면 등교를 기대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럴 경우 소득별, 지역별 학력 격차와 아이들의 사회성 결핍 등 교육 황폐화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우려가 있다. 이런 변수와 잠재된 위험까지 고려해 교육 당국은 학교 방역 전략을 적극 손질하기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