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가 일본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날' 행사 강행과 관련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초치되고 있다. 뉴스1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도 성명을 내고 “독도에 대한 부질없는 도발을 반복하는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행사를 즉각 폐지할 것을 다시 한 번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일본 정부는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즉각 중단하고, 겸허한 자세로 역사를 직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일본의 도발도, 정부의 항의도 사실상 예정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2월 말 ‘다케시마의 날’ 행사로 시작해 3월 무렵 과거사를 왜곡하는 방향으로 이뤄지는 일본의 교과서 검정, 5월 일본의 외교청서 및 7월 일본의 방위백서를 통한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 등 거의 매해 일본의 과거사 도발이 때를 맞춰 반복되며 이제는 캘린더 도발이란 말이 낯설지 않게 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3월1일 종로구 배화여고에서 3.1절 기념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22/55317e45-13f8-4b85-9053-227159dc7d03.jpg)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3월1일 종로구 배화여고에서 3.1절 기념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에 더해 대통령의 3ㆍ1절 기념사와 8ㆍ15 광복절 축사가 또다른 고비다. 한국 내에서 반일 여론이 커지는 계기에 한국 지도자가 어떤 대일 메시지를 발신하는지가 한ㆍ일 관계의 변곡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이 3ㆍ1절 기념사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가해자인 일본 정부가 ‘끝났다’라고 해선 안 된다”고 말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보이자, 일본은 관방장관이 나서 “극히 유감”이라며 반발했다.
정부가 최근 들어 한ㆍ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문 대통령이 이번 3ㆍ1절 기념사에서는 과거사에 대해 어떤 입장을 보일지 외교가의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신년 기자회견에서 2015년 한ㆍ일 간 위안부 합의가 정부의 공식 합의라고 인정하고,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서도 일본 기업의 국내 자산을 현금화하는 식의 강제집행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외교적 해법에 방점을 찍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