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들보·벽 등 뜯어내면서 신고 안 해"
국민의 힘, 22일 대전시 검찰에 고발

옛 충남도청사에 있던 나무가 절단된 모습. 대전시는 이곳에 있던 향나무 128그루와 은행나무 등을 무단 제거했다. 프리랜서 김성태
대전시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해 6월부터 중구 선화동 옛 충남도청사 부속 건물을 대상으로 ‘소통협력공간’조성사업을 추진해왔다. 소통협력공간사업은 옛 충남도청사 부속건물인 무기고동·선관위동·우체국동 등을 리모델링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여기에는 사회적자본지원센터·사회혁신센터가 입주하고, 공유주방·카페·갤러리도 설치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총 123억5000만원이다. 시설비가 63억5000만원이고, 나머지 60억원이 프로그램 운영비다. 대전시는 “소통협력공간은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아이디어를 발굴해 지역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시 "협의 대상인지 몰랐다"

옛 충남도청사내 우체국 건물의 나무 들보가 잘려나간 모습. 대전시는 중구청에 신고절차 없이 리모델링 공사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방현 기자

옛 우체국 건물 안내판. 프리랜서 김성태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리모델링 공사가 중구에 신고해야 하는 대상인지 미처 몰랐다”며 “건축물 훼손이 많이 돼 원상 복구는 불가능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4월부터 2개월간 리모델링 건축물을 대상으로 내진 성능평가를 했다”며 “그 결과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철골 구조물 등을 별도로 설치했고 당초 설계보다 시설 보강이 더 필요해 예산이 추가로 들어가야 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옛 충남도청사에 있는 선관위 건물 내부 벽과 기둥 등이 손상됐다. 대전시는 안전이 우려되자 쇠기둥을 임시로 설치했다. 프리랜서 김성태
해당 건물 보와 벽은 철거한 상태
선관위 건물은 내부 벽과 보를 대부분 철거한 상태였다. 선관위 건물 천장에는 철골 구조물을 설치했다. 이들 건물은 1966년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와 현장을 둘러본 건축설계사 이모씨는 “무리한 공사를 한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며 “행정기관이 아닌 일반인이 이런 공사를 했다면 즉각 고발 조치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무기고 건물은 도청사와 함께 1932년 지어

옛 충남도청사에 있는 선관위 건물 벽이 헐리고 지붕에는 철골구조물이 설치돼 있다. 건축 전문가들은 "이 정도로 대규모 공사를 하면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했다. 프리랜서 김성태
이와 함께 대전시가 옛 충남도청 자리에서 옮겨 심은 향나무 중 일부는 말라 죽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 조경업자는 “향나무를 논바닥처럼 습기가 많은 곳에 이식하면 제대로 성장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도청사에 있던 향나무 128그루를 잘라 폐기 처분하고 44그루는 유성구 금고동 양묘장에 옮겨 심었다. 대전시는 또 충남도청사에 있던 90년 된 은행나무·삼나무 일부도 제거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시가 옮겨심은 향나무가 말라죽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국민의 힘 대전시당은 허태정은 대전시장과 소통협력공간 조성 사업 담당 국장·과장 등을 공용물건손상죄·직무유기죄·건축법위반죄 등혐의로 대전지검에 고발했다. 국민의힘은 고발장에서 “소통협력공간 마련을 위한 공사를 진행하면서 청사의 소유자인 충남도 승인 없이 공용물건인 향나무를 제거하고 건축물을 리모델링하면서 관할 기관의 신고 등 절차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대전=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