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접종 순서는 공정의 문제”
이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이) 먼저 맞으면 국민들 제쳐두고 특혜라고 주장하고, 사고라도 나면 고소해 할 것인가”라며 “국가원수가 실험 대상인가. 국가원수는 건강과 일정이 국가 기밀이고 보안사항”이라고 말했다.
야권은 곧바로 반박했다. 국민의힘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페이스북에 “정청래 의원은 문 대통령의 순장조라도 되려고 작정한 건가”라고 비판했다. 조 구청장은 “다른 나라 국가 정상들은 조롱거리가 되고 싶어 솔선수범해서 백신을 맞았느냐”고 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해 12월 백신을 접종했고, 이스라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자국 내 ‘1호 접종’을 자처했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94세)과 남편 필립공(99세)도 지난달 백신 접종 사실을 언론에 공개했다.
한편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요양병원 등에 종사하는 분이나 환자들 가운데 (백신을) 맞겠다고 한 분이 94% 수준”이라면서 “고위 공직자가 먼저 접종한다고 하면 공정의 문제, 즉 순서를 지키지 않는 문제 등과 연결될 수 있다”고 했다.
성지원 기자 sung.jiwo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