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덩치 큰 국내 기업들이 미국에서 조 단위로 회사를 키울 것이다." (한 킴 알토스벤처스 대표)
"수아랩·하이퍼커넥트와 같은 글로벌 단위의 인수·합병(M&A) 사례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임정욱 TBT 공동대표)

쿠팡이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신고서를 제출했다. 예상 기업가치는 약 33조~55조원. 그래픽=김정민 기자
'한국식 성장모델' 인정받았다
· 조진환 미래에셋벤처투자 팀장은 "쿠팡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증권신고서(S-1)를 보면 국내 스타트업에 대한 응원이나 놀라움을 넘어 무섭기까지 하다"며 "압도적 기술력·실행력을 바탕으로 고객 경험을 바꾸고, 시장 전체 판도까지 바꿨다"고 평가했다. 쿠팡은 이런 성공 방정식을 기존 e커머스 시장뿐 아니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쿠팡플레이), 음식·배달서비스(쿠팡이츠·쿠팡플렉스)로도 이식하는 중.
· 하이퍼커넥트는 다른 방식으로 성장했다. 쿠팡과 하이퍼커넥트에 모두 투자한 한 킴 알토스벤처스 대표는 “쿠팡이 엄청난 투자금을 바탕으로 사업의 기틀을 다졌다면, 하이퍼커넥트는 정반대”라며 “큰 투자금 없이, 투자를 받더라도 (그 돈은) 1원도 쓰지 않고 매년, 매월 흑자 내며 성장한 케이스”라고 진단했다. 창업 당시부터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진 쿠팡과 달리 안상일 하이퍼커넥트 대표는 2014년 창업을 하며 조용히 해외 시장부터 겨눴다. 이 회사가 개발한 영상 메신저 앱 '아자르'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유명하다. 매출 95%가 해외에서 나온다.
![영상 메신저 '아자르'를 운영하는 한국 스타트업 하이퍼커넥트가 약 2조원에 매치그룹에 매각됐다. [사진 하이퍼커넥트]](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18/a87c06d1-81e2-4c96-a2d5-0809ad35f911.jpg)
영상 메신저 '아자르'를 운영하는 한국 스타트업 하이퍼커넥트가 약 2조원에 매치그룹에 매각됐다. [사진 하이퍼커넥트]
차기 '메가 딜' 주인공은 누구?
① M&A형 : 2019년 2300억원에 미국 나스닥 상장사(코그넥스)에 매각된 AI 기술기업 수아랩은 기술 스타트업의 글로벌 M&A 사례로 큰 주목을 받았다. 최근엔 한국 유니콘 가운데 M&A 엑시트 1호도 나왔다. 지난해말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M&A 승인을 받은 배달의민족이다. 이달초 글로벌 데이팅 앱 틴더 운영사(매치그룹)과 M&A를 발표한 하이퍼커넥트가 2호. 2015년 카카오가 내비 앱 '김기사'를 626억원에 사들인 게 '빅딜'로 화제를 모았던 시절에 비하면 괄목할만한 성장이다. 미국 VC업계가 코로나19로 막대한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국외 투자처 발굴에 나선 것도 국내 스타트업엔 호재. 이기대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이사는 "실리콘밸리의 조 단위 투자 문화에 익숙한 미국 자본이 보기엔 한국 스타트업이 기술력과 노하우를 모두 갖춘 '가성비 알짜기업'으로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기영 코그넥스딥러닝랩코리아(전 수아랩) 대표 [사진 코그넥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18/505a115d-b55d-4198-8d30-9def125ed8be.jpg)
송기영 코그넥스딥러닝랩코리아(전 수아랩) 대표 [사진 코그넥스]
③ 국내 증시 상장 : 현재 한국 증시는 네이버·카카오·엔씨소프트·넷마블 등 1세대 IT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2010년 전후 모바일 혁명기에 창업해 최근 10년간 성장한 유니콘들도 국내 상장을 준비 중이다. 모바일 1호 유니콘 쏘카를 비롯해, 플랫폼 기업 야놀자·직방 등이 국내 증시 상장을 준비 중이다. 배틀그라운드 개발사 '크래프톤'은 올해 가장 주목받는 IPO 유망주로 꼽힌다.

국내외 상장을 준비 중인 유니콘 스타트업들. 그래픽=김정민 기자
‘넥스트 유니콘’ 더 있나?
· 차기 유니콘으로 꼽히는 국내 B2B 기술기업은 2012년 창업한 클라우드 운영·관리업체 베스핀글로벌 정도다. 이 회사는 중국·중동 등에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최근 아부다비투자진흥청에서 진행하는 6000억원 규모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지원사업의 파트너로 선정됐다.
· 임 대표는 “카이스트·유니스트·포항공대 등 뛰어난 이공계 인력들로부터 글로벌 지향 기술 스타트업들이 많이 배출됐고, 현재 스케일업 단계”라며 “연구개발(R&D)만 하고 사업화는 못 한다던 5~6년 전과는 국내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수아랩 같은 글로벌 성공사례가 꾸준히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 이기대 이사는 “재벌 총수가 아닌 이상 2~3년 실적에 자리가 달린 전문경영인이 수천억 원대의 스타트업 인수를 추진하긴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이제 갓 시작된 오픈 이노베이션 분위기를 잘 이어가야 한국 기업 생태계에 선순환 구조가 자리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정민·하선영 기자 dynamic@joongang.co.kr
요즘 뜨는 기업 궁금하세요?
요즘 핫한 테크기업 소식을 입체적으로 뜯어보고 싶다면, 그것도 편하게 이메일로 받아보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기사 +α’가 찾아갑니다. 구독신청 → https://url.kr/qmvPIX

QR코드를 찍으면 팩플 구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