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8일 더불어민주당 단독으로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외통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민주당의 단독 채택에 항의하는 의미로 단체 퇴장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08/ef13b7b1-77d6-41f2-9722-550c4128147f.jpg)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8일 더불어민주당 단독으로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외통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민주당의 단독 채택에 항의하는 의미로 단체 퇴장했다. [뉴스1]
“역사상 가장 따뜻한 한반도의 봄을 이끈 분.”(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를 파탄 낸 장본인.”(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
여야의 상반된 평가 속에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가 8일 민주당 단독으로 채택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청문 보고서 채택 약 6시간 후인 이날 오후 5시 20분쯤 장관 임명안을 재가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야당 동의 없이 장관급 인사를 임명한 28번째 사례다. 정 신임 장관의 공식 임기는 내일(9일)부터 시작된다.
與 정의용 청문보고서 단독 채택
야당 동의 없는 28번째 임명 강행
도마 오른 '북한 비핵화' 발언
탈북 선원에 '흉악범' 논란도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국회 외통위 전체회의에서 정 장관에 대한 부적격 입장을 표명한 뒤 민주당의 청문 보고서 단독 채택에 항의하는 의미로 회의장에서 단체 퇴장했다. 국민의힘 측은 정 장관이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 재직(2017년 5월~2020년 7월)한 시기에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이 사실상 파탄 났다고 주장했다. 국회 외통위 야당 간사인 김석기 의원은 이날 외통위 전체회의에서 ▲북한 비핵화 정책 실패 ▲한·미 연합훈련 실시 이견 등 한·미동맹 균열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등 반일 정서 조장 및 한·일관계 악화 ▲대중 굴욕외교 등의 사유를 들어 정 장관 임명에 반대했다. 이는 모두 정 장관이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시절 발생한 일로 김 의원은 “외교·안보를 실험대상으로 삼고자 한다면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국가와 국민에게 돌아온다”며 “모든 책임은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에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외교정책 실패의 책임자" 비판

국회 외통위 야당 간사인 김석기 의원은 2018년 탈북 선원 강제 북송 사건과 관련 "정의용 후보자의 헌법 무시와 인도주의 외면은 장관 후보자로서의 자질을 의심케 한다"고 비판했다. 오종택 기자
이날 외통위 전체회의에선 정 장관이 2018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시절 탈북 선원을 강제 북송한 이유에 대해 “(대한민국) 헌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설명하고 이들을 ‘흉악범’으로 규정한 발언이 다시 논란이 됐다. 김석기 의원은 “탈북 어부 강제북송과 관련 청문회에서 확인된 후보자의 헌법 무시와 인도주의 외면, 국내법에 대한 몰이해는 장관 후보자가 지녀야 할 자질을 의심케 한다”고 비판했다.

국회 외통위 여당 간사인 김영호 의원은 2018년 탈북 선원을 강제 북송한 것은 "매우 당연한 조치"라며 정 후보자의 당시 결정을 옹호했다. 오종택 기자
'북한 비핵화' 둘러싼 한·미 동상이몽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가 8일 채택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재가하면 정 후보자는 정식으로 외교부 장관에 취임한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08/0ca23a7d-a9de-403f-b522-a23915b0a9ef.jpg)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가 8일 채택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재가하면 정 후보자는 정식으로 외교부 장관에 취임한다. [연합뉴스]
외교가에선 정 장관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한 것에 대해서도 비현실적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새로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때와는 다른 ‘새로운 전략’을 검토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 상태에서 한국의 외교부 장관이 기존 대북전략을 다시 활용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자체가 이견을 공공연하게 드러낸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정 장관은 지난 5일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선택이 아닌 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정진우 기자 dino87@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