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이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별관 강당에서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 방안을 발표한 뒤 대화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홍 부총리는 “서울시에 공급될 32만호도 서울시 주택 재고의 10%에 달하는 공급 쇼크 수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강조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주택 입주량은 서울 6만9000호, 전국 45만7000호였다.
홍 부총리는 “이번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의 핵심 내용은 공공 주도 패스트트랙(Fast-track) 제도 마련, 추가적인 신규 택지 확보를 통해 수도권 및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2025년까지 총 83만호의 주택을 공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대책으로 도심 공공주택 복합 사업이 새로 추진된다. 정비구역이 아닌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가 대상으로는 하는 공공 주도 주택 개발 사업이다. 이 사업에 소규모 재개발까지 더해 30만6000호가 추가 공급된다. 공공 직접 시행 정비 사업(13만6000호), 도시 재생 사업 방식 개선(3만호), 공공택지 신규 지정(26만3000호), 청년 주택 등 단기 주택 확충(10만1000호) 등 방안도 같이다.
홍 부총리는 “주택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개발 이익은 기반시설 확충뿐만 아니라 사업 진행 과정에서 소외될 수 있는 임차인ㆍ 영세상인 보호에 활용해 국민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규제 완화, 사업 기간 단축 등으로 토지주가 받은 이익 일부를 회수해 세입자, 영세 상인 등 정주 여건 개발에 투자하는 개발 이익 공유제다.
실제 주택 공급과 입주까지 시간이 걸리고, 투기 수요를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홍 부총리는 점에 “분양 및 입주까지는 다소간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에서 대책 발표 이후 일시적인 시장 불안 요인이 발생할 소지도 없지 않을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시장 불안의 조짐이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선제적으로 투기적 거래를 방지할 계획이며, 만약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준비된 고강도 시장 안정 대책을 추가해 즉각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홍 부총리는 25번째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며 다시 한 번 사과했다. “정책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장 수급 불안, 시중 유동성, 인구 구조 변화 등 다양한 도전 요인들로 인해 부동산 시장 안정세가 확실하게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점에 대해 송구하고 매우 마음 아프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