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백신 접종 계획 발표
내달 80만 첫 접종, 백신 선택 못해
9월 전국민 1차 접종 완료 목표
독일 “아스트라 64세 이하만 접종”
백신 수급까지 원활치 않을 경우
‘11월 집단면역’ 목표 차질 불가피
변이 바이러스 확산 여부도 변수
고령층, 아스트라 백신 거부 우려도
28일 질병관리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월별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행 계획을 발표했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사망자를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전파 차단을 위해 11월까지 집단 면역 형성을 목표로 하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을 2월부터 차례대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신 접종은 무료이고, 개인이 백신을 선택할 수는 없다.
이 계획에 따르면 2~6월 약 5개월간 최우선 접종 대상자 1030만 명에게 접종이 이뤄진다.

대상군별 접종 시작 시기(안)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러나 예상되는 난관이 많다. 전문가들은 백신 공급이 예정대로 이뤄진다는 전제하에 접종 인력 수급에 문제가 없어야 하며, 접종 거부가 없도록 신뢰도를 확보하는 게 필수라고 지적한다. 우선 접종할 백신이 예정대로 들어오는 게 중요하다. 자국에서 백신을 생산하는 미국과 유럽에서도 백신 공급 지연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독일 예방접종위원회는 28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64세 이하에게만 접종하라고 권고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공급 차원이나 잘못된 접종으로 인한 여러 변수가 생길 수 있다. 이런 부분을 최소화하고 목표한 인원대로 접종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유통과정.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시기별로 각 대상자가 접종을 순조롭게 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하다.
지방 의료진 대부분 방역 투입 … “접종 인력 확보? 여력없다”
특히 정부가 제시한 일정을 고려하면 65세 이상 고령층은 1분기 중 들어올 아스트라제네카나 화이자 백신을 맞을 것으로 보이는데,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고령자 접종 효능이 논란이 될 수 있다.

백신 종류별 특성.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정기석(전 질병관리본부장)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정부가 시기별 계획을 짜놨지만 접종자가 의외로 적게 오면 어떻게 할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우리가 백신을 왜 맞아야 하고, 맞아도 안전성이 얼마나 보장되는지를 홍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치료 의료진의 경우 정부 계획과 달리 접종센터 접종은 다소 무리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병율 교수는 “의료진은 해당 병원에서 맞으면 되는데, 코로나19 대응으로 가뜩이나 바쁜 인력이 각 센터로 가서 접종하기가 쉽겠냐”며 “자칫 처음부터 엇박자가 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백신 공급 시기.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엄중식 교수는 “항체 형성이 없거나 면역 효과가 떨어지는 사람이 당연히 생길 것”이라며 “60~70%에게 항체가 생겨야 큰 유행을 막을 수 있는데 접종을 거부하거나 접종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원하는 만큼 접종 가능 인구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도 “2월 말에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4월께 효과가 최고조일 테지만 6개월 이후 면역력이 없어질 수도 있다. 이런 여러 가지를 고려해 집단 면역 목표치를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변이 바이러스 유행 여부도 관건”이라며 “전파력이 더 강하다고 알려진 변이 바이러스가 퍼진다면 집단 면역을 위해 접종 목표를 더 높일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정은경 청장은 “예방접종이 시작되더라도 집단 면역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와 같은 방역 수칙은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스더·김민욱·황수연·이태윤 기자 ppangsh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