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일(현지시간)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되는 한국 선박 '한국케미' 모습. 한국케미 선박 관리회사 직원이 5일 CCTV 영상을 확인하고 있다.
"억류 선원에 혐의 통지하지 않아…현장 조사도 아직"
"외교 협의 대상 아닌 사법절차" 라더니
절차 시작 단계인 '혐의 통지'도 안해
"구체적 혐의·근거 없는 억류 방증" 지적
여기에 억류된 선박에 대한 제대로 된 현장 조사도 진행하지 않았다. '한국케미'호의 선사인 디엠쉽핑 관계자는 "1주일 전 마지막으로 확인했을 때 아직 어떤 형식의 조사도 시작되지 않았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21일 "이란 측이 주관적인 근거라도 보여줘야 협의를 하는데 아직 그런 것조차 없다"고 말했다. 이란에는 일반법 뿐 아니라 무슬림 율법인 '샤리아법'이 존재하는 등 안 그래도 법체계가 복잡한데, 최소한 어떤 법을 적용해서 배를 잡아뒀는지를 알려줘야 법적 대응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선원들은 현지에서 변호사 선임도 못 하고 있다. 혁명수비대가 주도해서 선박을 억류하고 있다는 점도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선사 관계자는 "보험사를 통해 다방면으로 변호사를 알아보고 있지만, 혁명 수비대가 얽혀있는 걸 알면 누구도 나서려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항만청, 어업국, 사법부 등 어디를 상대로 어떤 대응 해야 할지도 명확하지 않아 막막한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이란, 동결자금 문제 삼으며 '언론플레이'

이란 정부 홈페이지에 20일(현지시간) 공개된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의 한국 선박 관련 발언
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