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페 내 취식이 가능해진 18일 종로 인근 카페에 '매장 홀 이용이 가능합니다'라는 내용의 포스터가 붙어있다. 권혜림 기자.
“카페에서 커피 한잔하는 일상이 이렇게 소중하게 느껴진 건 처음이에요.”
카페들은 정부의 지침대로 좌석 수가 절반으로 줄었지만, 점심 뒤 손님으로 대부분 만석이 됐다. 시민들은 지난해 11월 24일 이후 55일 만에 되찾은 '카페 내 취식’을 반기는 모습이었다.
“카페는 공간을 파는 곳 실감”
카페에서 일하는 시민들의 모습도 다시 보였다. 프리랜서 최모(31)씨는 "카페 영업제한 기간에 카페가 '공간을 파는 곳'이라는 인식이 더 확고해졌다"고 했다. 그는 "잠깐 밖에 일 보러 나왔다가도 일정 사이에 시간이 뜨면 추운데 갈 곳도 없고 난감했다"고 했다. 이 카페의 직원은 "생각보다 손님이 많이 몰려 좌석을 좀 더 뺐다"며 "1시간마다 문을 열어서 환기하는 등 최대한 정부 방침에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18일 '카공족'이 카페에서 공부를 하는 모습. 권혜림 기자
돌아온 ‘카공족’
“1시간 넘겨도 안내만 해”
한 프랜차이즈 카페 매니저 김모씨는 "시간을 일일이 체크할 수 없고, 손님에게 직접 나가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면서 "사람이 많지 않을 경우 꼭 1시간이 지났다고 해서 쫓아낼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자영업자를 위한 조치가 자칫 방역 긴장감을 늦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자영업자들이 그동안 많이 힘들었기 때문에 그 측면에서는 완화는 긍정적"이라면서도 "카페를 찾는 분들이 방역 수칙을 얼마나 잘 준수하느냐에 따라 확산 여부가 달렸다. 밀접한 환경을 최대한 피하고 마스크 등 개인 방역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카페 내 취식이 가능해진 18일 광화문 인근 카페에 손님들이 착석해 있다. 권혜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