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북구 월곡동에 홀로 사는 어르신 A(83) 씨는 최근 낙상으로 고관절 수술을 받았다. 문제는 수술을 받은 이후였다. 퇴원해 집에 왔지만 도움을 청할 사람이 없었다. 자녀가 있지만, 지방에 사는 바람에 도움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밥을 챙기는 것부터, 화장실 이용까지 스스로 챙기기엔 벅찼다. A씨에게 도움의 손길이 된 건 돌봄 SOS 센터였다. 평소 소통하던 복지플래너의 도움으로 요양보호사 파견을 도왔다. 청소와 식사준비, 병원 동행까지 도움을 받기 시작했다. A씨는 “(도움에) 건강을 찾아가고 있다. 다시 태어난 심정”이라고 말했다.
서울 각 구청이 홀로 사는 어르신 돕기에 나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다 추위까지 겹치면서 위기에 놓인 홀몸 어르신의 고독사를 막기 위해서다. 성북구는 15일 고독사 방지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홀로 거주하거나 질환으로 안부 확인이 필요한 대상자를 찾아 안부를 확인하고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용산구는 고독사 방지를 위해 스마트 플러그 설치에 들어갔다. 전력사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사진 용산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6/34641fc0-04b9-4f81-92fc-8f94da7df784.jpg)
용산구는 고독사 방지를 위해 스마트 플러그 설치에 들어갔다. 전력사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사진 용산구]
"어르신 잘 지내세요, 매일 안부확인"
![강서구 복지플래너가 중장년 1인가구를 방문해 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 강서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6/bef068c8-7c6d-4ca8-a7f3-ae511e3c23d3.jpg)
강서구 복지플래너가 중장년 1인가구를 방문해 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 강서구]
강서구는 고독사 예방을 위해 '스마트 플러그' 지원에 들어갔다. 최근엔 중장년층으로 고독사가 잇따르는 상황을 고려해 IoT(사물인터넷) 기기인 스마트 플러그를 활용하기로 했다. 멀티탭과 비슷한 모양으로 전력사용량과 조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분석할 수 있다. 강서구는 특히 1인 가구에서 자주 사용하는 TV 등 기기를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하도록 했다.
사용패턴이 평소와 달라지면 담당 복지플래너의 휴대전화에 알림이 울리도록 설정됐다. 노현송 강서구청장은 “1인 가구 비중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고독사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다”며 “돌봄 서비스 강화와 함께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용산구도 1인 중년 가구 555세대에 스마트 플러그를 지원했다. 용산구는 “겨울철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단전·단수, 휴·폐업, 실직, 건강보험료 체납 등 생계 곤란에 처한 위기 가구 발굴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옥탑방과 고시원·쪽방 등 주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도 실시 중이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중년층이 상대적으로 복지제도에서 멀어져 있고, 고독사 문제가 심화하는 구간에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성북구, 위기 1인 가구 조사해보니"
전수조사를 통해 지원을 받게 된 B씨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14년간 프로그램 개발자로 일해오다 지난해 11월 해고 통보를 받았다고 했다. 성북구는 “생활이 어려워져 힘든 시간을 보내던 B씨에게 집 청소 지원과 함께 이불과 라면 등 후원 물품을 지원하고, 심리지원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