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지난해 7월 2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과 조기 종식을 응원하기 위한 '스테이 스트롱'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10명 중 9명은 올해 국내 경제상황을 "심각하거나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3일 "중기 CEO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 경제상황도 힘들 것이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중기중앙회는 4~7일 411개 중소기업의 CEO를 대상으로 '2021년 경영전망조사'를 실시했다. '심각하다'는 응답이 47.7%, '전년(2020년)과 비슷하다'가 41.8%로 90% 가까이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올해 경제가 양호할 것이란 답은 10.5%로, 중소기업은 10곳 중 1곳 정도에 그쳤다.

중소기업 CEO의 올해 경제전망 조사.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올해 경제상황을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이유로는 '코로나19로 인해 내수부진이 지속될 것'(86.7%)이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기업규제 중심 법안과 정책'(10.2%), '대․중기 양극화 심화'(3.1%) 순으로 꼽았다. 대외 요인으로는 '전 세계적 성장률 둔화'(75.0%), '수출규제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13.3%), '미·중 무역분쟁'(7.1%)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 CEO 10명 중 3명은 전년 대비 올해 매출액이 '줄어들 것'(37.0%)으로 답했다. '전년과 비슷하다'가 47.4%였고, '증가할 것'는 15.6%에 그쳤다. 올해 경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대내외 요인(복수응답)을 묻자, 10명 중 7명은 '전반적인 경기심리 회복 여부'(71.0%)를 꼽았다. 이어 '정부의 정책지원 여부'(46.2%), '기업운영요건 충족 여부'(33.6%) 순으로 답했다.
올해 정부 및 국회에 바라는 중소기업 지원정책(복수응답)에 대해선 '내수활성화 지원'(48.2%), '정책금융·세제지원 강화'(43.8%), '기업 활동에 대한 과도한 규제입법 완화'(38.2%), '주 52시간 근무제 보완'(27.5%) 등을 꼽았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내수위축 및 대내외 불확실성 등이 중소기업의 올해 경영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경영활동을 옥죄고 있는 경제3법,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주52시간 근무제도 등 규제 법안과 정책들에 대해 정부 차원의 보완 입법 등 정책적 배려와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백민정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