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2000여 가구가 들어설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부지. 2019년 12월 착공했지만 분양가 문제로 분양이 미뤄지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2/0e835aaf-7914-4627-9771-6471becb9a9b.jpg)
1만2000여 가구가 들어설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부지. 2019년 12월 착공했지만 분양가 문제로 분양이 미뤄지고 있다. [중앙포토]
주택공급 확대 발목 잡는 고분양가
신반포3차·경남 3.3㎡당 5669만원
상한제 규제 전 4892만원보다 높아
용적률 올리면 가구 수도 늘어나
시세차익 환수 등 로또 방지책 필수
분양가 상한제로 분양가를 낮추는 방법으로는 같은 크기의 땅에 집을 더 많이 짓도록 용적률(사업부지 대비 지상건축연면적 비율)을 높이는 게 효과적이다. 실제로 현재 2990가구를 짓는 신반포3차·경남 재건축 용적률(300%)을 20%만 올려도(360%) 3.3㎡당 4900만원으로 3.3㎡당 800만원가량 낮출 수 있다. 84㎡(이하 전용면적) 기준으로 3억원 가까이 내려간다. 증가하는 가구 수가 84㎡ 650가구다.

강남 재건축 용적률 상향 효과
과거 이명박 정부가 2010년대 초 보금자리주택을 도입하면서 땅값을 낮춘 방식을 쓰면 분양가를 훨씬 더 낮출 수 있다. 아파트용지 가격을 현행 감정평가금액이 아니라 조성원가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다. 감정평가 금액이 높게 나오는 인기 지역일수록 분양가 인하 폭이 크다. 보금자리주택 때 60㎡ 이하 용지는 조성원가의 95%, 60~85㎡ 110%였다. 과천지식정보타운의 경우 59㎡가 3.3㎡당 800만원(가구당 2억원), 84㎡ 3.3㎡당 700만원(가구당 2억3000만원) 낮출 수 있다.
분양가 인하에서 함께 검토돼야 할 대책이 ‘로또’ 방지다. 분양가를 낮추면 로또가 더 커져 분양시장 왜곡 등 기존 로또 부작용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이현석 건국대 교수는 “분양 때보다 양도 때 시세차익 일부를 환수하면 분양가를 높이지 않으면서 로또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분양가 인하는 사업성을 악화시켜 공급을 줄일 위험성을 갖고 있다”며 “공급 확대와 로또 방지를 두루 포괄하는 묘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장원 기자 ahnjw@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