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박근혜 사면론 정국 강타
![신축년 새해 첫날인 1일 당 지도부와 함께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을 찾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현충탑에서 참배하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2101/02/4fc76bb3-d94f-485e-be05-a8ab615dea01.jpg)
신축년 새해 첫날인 1일 당 지도부와 함께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을 찾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현충탑에서 참배하고 있다. [뉴시스]
“대통령 정치적 부담 덜어주려
지지층 반발 각오하고 결단한 듯”
지지율 하락 반전 카드 시각도
민주당 내 부정적 여론 들끓어
MB 측 “미리 들어” 야당 “환영”

이명박
이 대표가 집권 5년차를 맞는 대통령에게 두 전직 대통령 구속이란 정치적 부담을 덜어낼 길을 열어주기 위해 총대를 멨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친문으로 분류되는 초선 의원도 “이제 시간이 별로 없다. 대통령 입장에서 아무래도 고민이 있을 수밖에 없을 텐데 이 대표가 먼저 이슈를 던진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당직을 맡은 또 다른 의원도 “이 대표가 원체 신중한 성격인 데다 대통령의 영역에 대해서도 명확히 선을 긋는 사람이라 대통령 권한인 사면 얘기를 독단적으로 꺼내진 않았을 것”이라며 “이 대표가 지지층 반발을 각오하고 결단한 것 같다”고 추론했다.

박근혜
이 대표가 신년사에서 사면 명분으로 사회 갈등 완화와 국민 통합을 내세운 걸 두고도 비판이 분출했다. 친문 재선 의원은 “통합이란 게 단순히 두 전직 대통령을 사면한다고 될 일은 아니다”며 “국민적 논의도 안 거치고 당 대표가 대통령을 압박하는 건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상의가 전혀 없었다”(초선 최고위원)거나 “순전히 본인만의 결단”(전략통 의원)이란 비판의 목소리도 적잖았다. 민주당 권리당원 게시판도 “대통령에 도전할 생각이 없어졌나 보다” “사퇴하라” “왜 촛불민심 뒤통수를 치느냐” 등의 비난 글로 도배됐다.
이 대표의 사면 건의가 해피엔딩으로 끝날지는 문 대통령의 수용 여부에 달려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문 대통령이 건의를 받아들일 경우 ‘통합’ 이미지를 앞세운 차기 유력 대선후보로 확실하게 힘이 실리겠지만, 만약 흐지부지되거나 청와대 반대로 좌초될 경우 이 대표에겐 돌이킬 수 없는 오점으로 남을 것이란 관측이다. 이 대표로서는 쏟아질 비난을 예상하고도 새해 벽두에 전격적으로 승부수를 던진 셈이다.
국민의힘은 공식 반응을 자제한 채 진의 파악에 주력하는 모습이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립현충원을 참배한 뒤 취재진과 만나 “(사면 건의는) 처음 듣는 이야기”라며 “지난번에 만났을 때 그런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틀 전인 지난달 30일 여야 지도부가 18분간 비공개 회동할 당시 이 대표가 사면과 관련한 언급을 전혀 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 대표가 사면을 사전에 언급하지 않은 데 대해 불쾌감을 드러낸 것”이라고 전했다.
청와대와 이 대표의 사전 교감 여부에도 주목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여권 내에서 서로 조율돼 나온 얘기라면 환영할 만한 일”이라면서도 “단순히 희망 고문에 그칠까 걱정”이라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여권의 정치적 노림수를 경계해야 한다”는 반응도 동시에 나왔다. 코로나 백신 논란과 부동산 이슈, 추미애·윤석열 갈등으로 코너에 몰린 여권이 4월 재·보선을 앞두고 사면 이슈를 중도층 표심 잡기와 정권 위기 탈출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제원 의원도 “여권이 국면 전환용 카드로 사면을 이용할 경우 더 큰 정치적 역풍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전 대통령(MB) 진영의 좌장격인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통령 측 인사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 MB 측 핵심 인사는 “인터뷰가 공개되기 전 이 대표가 우리 측 인사와 통화하며 ‘전직 대통령 사면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것’이란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후 이 대표 발언의 진의를 분석하기 위해 내부 회의도 열렸다고 한다. 이에 대해 이 대표와 통화한 것으로 지목된 인사는 “확인해 줄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심새롬·김기정·송승환 기자 saero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