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셔터스톡
금리 낮추자 장사 접는 대부업자들
대형 대부업체의 신규 대출 중단과 저축은행이 인수한 대부업체가 영업을 축소하며 대출 잔액이 줄었다는 것이 금감원의 분석이다. 실제로 영업 중단한 일본계 대형업체와 저축은행 인수계열 대부업체의 대출 잔액은 지난 2018년 말 6조900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조8000억원으로 거의 반 토막났다.
대부업 이용자는 총 157만5000명으로, 작년 말 대비 20만2000명(11.4%) 줄었다. 대부업 이용자 수는 2017년(247만3000명)에 이어 2018년(221만3000명)과 2019년(177만7000명)에도 계속 줄어들고 있다.

부산의 한 거리에 일수 등 불법 사금융 전단지가 널려 있다. 중앙포토
담보 잡혀야 대출 내준다
대부업체들의 평균 대출금리는 17%로 나타났다. 대부업체의 평균 대출금리는 2018년 19.6%였지만 2019년 17.9%, 올해 17%로 하락하는 추세다. 대출 유형별로는 신용대출의 평균 금리가 20.4%고 부동산 등 담보가 있는 대출의 평균 금리는 13.3%다. 법정 최고금리가 현행 24%에서 내년 하반기 20%로 내려가는 만큼 대부업체의 평균 대출 금리도 17%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부업 관계자는 “대부업체의 평균 조달금리가 6%고 대손 비용이 10%임을 고려하면 원가만 따져도 16%이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17% 이하로 떨어지면 한계 상황이 올 것”이라며 “이미 법정 최고 금리가 크게 낮아져 신용대출을 주력 상품으로 해서는 이익이 나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내년 하반기 최고 금리 인하가 예정된 만큼, 대부업권의 영업 실태를 면밀하게 살피겠다는 입장이다. 금감원은 “최고금리 인하에 따른 저신용자 신용대출 영향을 살펴보면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법정 최고금리 미준수, 불법채권 추심 등 불건전 영업행위에 대한 점검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책서민금융은 확대되는 추세지만 아직 저신용자의 자금 수요를 충족하기엔 부족한 수준이다. 서민금융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말 기준 바꿔드림론·새희망홀씨·햇살론·미소금융 등 4대 서민금융의 채무자(164만3381명) 중 절반 가까이(47.2%)가 최소 1건 이상 추가 대출을 받았다.
추가 대출을 받은 곳은 대부업이 8조9719억원(39.6%)으로 가장 많았고 저축은행(33.4%)이 뒤를 이었다. 정책서민금융 상품만으로는 자금 수요를 감당하지 못한 저소득층이 결국 고금리 시장에 다시 진입한 것이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