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욱, 중립적인데 수사 경험 의문"

김진욱 헌법재판소 선임연구관(왼쪽)과 이건리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연합뉴스
김 선임연구관은 판사 출신으로 정치적 중립 논란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다만 수사 경험이 거의 없어 대형 권력수사를 총괄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그와 연수원 동기인 김종민 변호사(순천지청장 출신)는 “공수처는 제2의 검찰로서 조직 규모도 작지 않아 탁월한 수사 경험은 물론 충분한 조직운영 경험과 관리 능력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며 “수사 경험이 거의 없는 김 선임연구관은 헌법재판관 후보로는 적합할지 몰라도 공수처장 후보로는 합당한 인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건리, 무난하지만 정권에 반기들 수 있나"
이 부위원장은 ‘원칙주의자’란 평가가 많다. 그는 지난해 9월 부인이 기소됐던 조국 당시 법무부 장관의 장관직 수행에 대해 권익위가 “이해충돌에 해당한다”는 입장을 내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한다. 같은 해 2월 권익위는 청와대에서 재직한 뒤 내부 고발을 한 김태우 전 청와대 특감반원을 공익신고자로 인정했다.

윤석열
"태생부터 괴물로 탄생, 처장 한 사람 좌지우지할 수 없어"
이미 법조계에서는 ‘공수처 수사 대상 1호’로 윤석열 검찰총장이 될 거란 시각이 파다하다. 대전지검이 맡은 ‘월성 원전 1호기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 수사도 공수처가 이어받아 할 가능성이 있다. 윤 총장에 대한 징계가 법원에서 막혔지만 윤 총장이 칼을 빼든 월성 1호기 폐쇄는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의 상징으로 꼽힌다.
당초 공수처장 후보로 지목됐다가 사퇴한 석동현 변호사는 “둘 중에 누가 되더라도 공수처는 ‘코드 수사’ 논란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공수처 조직을 구성하는 수사관들이 정치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구조에서 공수처장 한 명이 중립적이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했다. 그는 이어 “태생부터 ‘괴물’로 탄생한 공수처는 처장 한 사람이 좌지우지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선무당에 칼 쥐여 주는 격”이라고 우려했다.
박사라 기자 park.sar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