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e’는 헬스케어 서비스부터 간편 보험금청구 등 인슈어테크 서비스까지 통합 제공하는 고객 서비스 앱이다. 최근 멘탈케어 서비스를 탑재하는 등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사진 교보생명]](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30/226203d1-fffb-455e-8e7c-57b819f8b74d.jpg)
‘Kare’는 헬스케어 서비스부터 간편 보험금청구 등 인슈어테크 서비스까지 통합 제공하는 고객 서비스 앱이다. 최근 멘탈케어 서비스를 탑재하는 등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사진 교보생명]
교보생명
‘건강증진’에서는 고객의 신체정보에 따라 목표 걸음 수를 제시하는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목표 달성 시 축하 스탬프를 발급하고, 이를 포인트로 전환해 ‘Kare’에서 진행하는 이벤트에 사용할 수 있게 했다.
‘건강예측’은 교보생명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개발했다. 건강 상태, 심뇌혈관질환, 암, 치매 등 10여 개 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고, 맞춤형 건강관리 방안을 제시해준다.
또 고객이 최근 10년간 교보생명 헬스케어의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건강검진 데이터도 트래킹(Tracking)할 수 있다. 이를 분석한 결과를 리포트로 작성해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 ‘건강보장’에서는 한국신용정보원 데이터를 조회해 교보생명뿐 아니라 다른 보험사의 보장 내용까지 조회할 수 있다.
서류 출력 등의 절차 없이 보험금을 청구할 수도 있다. 현재 40여 개 병원과 협력하고 있으며, 향후 더 확대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친 고객의 마음을 보듬는 멘탈케어 서비스도 탑재했다. ‘Kare’ 앱에 접속해 ‘마음건강’ ‘컬러테라피’ ‘명상’ ‘스마일’ 등의 신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마음건강’은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진과 공동개발한 심리 분석 서비스다. ‘컬러테라피’는 스트레스로 인한 심신의 긴장 상태와 분노조절 장애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이 컬러를 통해 마음을 치유할 수 있게 한 서비스다.
‘명상’은 불안 극복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스마일’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셀카를 찍는 즉시 웃음 정도를 인식해 스마일 점수를 알려준다.
중앙일보디자인=김승수 기자kim.seungso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