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계 최초 접종은 피해야”
전문가 “언제 1등 하자고 했나”
청와대 “백신의 정치화 중단하라”
야당 “K방역 홍보가 정치질”
이에 대해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언제 우리가 접종 1등을 하자고 했느냐. 백신 확보를 잘 해야 했다고 말하는 건데 정부가 핀트가 맞지 않는 핑계(안전성)를 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전문가들 사이에선 내년 3~4월이면 백신 접종국과 미접종국 간에 상황이 확연히 비교될 것이라는 얘기를 한다”며 “백신 접종률이 30%만 넘어가도 신규 환자가 급격히 줄어든다. 백신 접종을 서두를수록 코로나19의 위험에서 조금이라도 일찍 벗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기석(전 질병관리본부장)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도 “지엽적인 핑계를 대지 말고 지금이라도 보건 당국을 비롯해 외교부·국가정보원, 민간 기업 등이 총력전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미국과 유럽, 일본 등은 상반기 내 자국민 절반 이상 접종을 목표로 하고 있고, 영국 정부는 코로나 종식까지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내년 1분기 접종 가능한 물량이 현재로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50만 도즈(75만 명분, 내년 최소 확보 물량의 2.5%) 정도다.〈중앙일보 12월 23일자 1면〉
청와대와 민주당이 ‘코로나19 백신 확보 늑장’ 비판에 대해 “백신의 정치화”(청와대), “터무니없는 공포 조장에 단호히 대처하겠다”(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입장인 데 대해선 국민의힘이 “코로나19 사태에서 ‘정치질’을 한 건 다름 아닌 문재인 대통령”(당 핵심 관계자)이라고 반발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대통령은 윤석열 검찰총장을 쫓아내는 데 쓰는 안간힘을 백신 구하는 데 좀 쓰셨으면 좋겠다”고 꼬집었다. 유승민 전 의원은 “백신의 정치화를 중단하라는데, K방역을 정략적으로 이용한 것은 청와대로 적반하장도 유분수”라고 했다.
백민정·손국희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