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춘천, 대구부산고속도로의 통행료가 24일부터 낮춰진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23/76a8420c-95a5-4e93-bf5a-aa41d8fe5e83.jpg)
서울춘천, 대구부산고속도로의 통행료가 24일부터 낮춰진다. [연합뉴스]
그러나 지난해 천안논산고속도로에 이어 대구부산 노선의 요금인하를 위해 한국도로공사(도공)가 막대한 돈을 먼저 투입해야 하는 방식이 또다시 동원돼 논란이다. 30조원 넘는 부채를 안고 있는 도공에 정부가 연이어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는 것이다.
24일부터 대구부산,서울춘천 요금 낮춰
![[자료 국토교통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23/283a362b-044e-4b22-8c73-557b8a56433c.jpg)
[자료 국토교통부]
국토부의 박병석 도로투자지원과장은 "이번에 인하되는 두 노선은 모두 재정고속도로(도공 운영)와 연계된 구간으로 이용자 입장에서는 어떤 노선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요금 편차가 매우 커 비용부담에 대한 부담이 많은 구간이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18년부터 민자도로의 공공성을 강화한다는 취지로 통행료를 재정고속도로 수준으로 낮추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제1순환(옛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북부 구간과 서울춘천 노선, 수원광명노선, 구리포천노선, 천안논산 노선의 통행료가 큰 폭으로 인하됐다.
서울춘천 노선은 운영기간 더 늘려줘
둘째는 사업재구조화다. 새로 유치한 민간투자자가 통행료 인하에 따른 차액을 운영권 종료 때까지 기존 사업자에게 지원하고, 이후 운영권을 넘겨받아 20년 동안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천안논산고속도로는 지난해 말 통행료를 최대 48% 인하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23/d845ee28-2e8f-4f8c-b382-936f77a1e8b7.jpg)
천안논산고속도로는 지난해 말 통행료를 최대 48% 인하했다. [연합뉴스]
그런데 지난해 천안논산 노선의 요금 인하 때는 민간투자자가 아닌 도공이 나서야만 했다. 1조 5000억원 가까운 선투자가 필요한데 이후 20년간 운영해서는 투자비 회수가 어려워 민간투자자를 구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대구부산엔 도공이 2조 4천억 선투자
![대구부산고속도로의 통행료 인하에는 도공이 2조 4000억원을 선투자한다. [블로그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23/92289456-a561-449d-96ff-d9220a41d381.jpg)
대구부산고속도로의 통행료 인하에는 도공이 2조 4000억원을 선투자한다. [블로그캡처]
대구부산 노선의 통행량이 당초 예상치의 50% 정도밖에 안 되는 데다 2026년까지 최소운영수입보장(MRG)도 적용되기 때문에 선투자 규모가 더 커졌다는 설명이다.
"천안논산 이어 도공이 또 총대" 비판
하헌구 인하대 교수는 "막대한 부채를 진 도공에 또다시 큰 부담을 안기면서까지 무리하게 민자도로의 통행료 인하를 추진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도공은 올 상반기 기준으로 부채가 30조원을 넘는다. [사진 한국도로공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23/b2bb30e2-ed66-4da3-94af-a31121cdfcf0.jpg)
도공은 올 상반기 기준으로 부채가 30조원을 넘는다. [사진 한국도로공사]
민간사업자의 운영기간을 늘려주는 방식으로 통행료를 낮추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다. 민자도로는 애초 정해진 운영 기간이 끝나면 새로 관리기관을 지정해서 운영토록 할 예정이다.
운영기간 연장, 미래 세대에 부담 우려
하지만 지금 방식대로 하면 기존 운영 기간(30년) 외에 추가로 20년 동안 재정도로와 유사하거나 조금 비싼 통행료를 계속 내야만 한다. 미래 세대에게 부담을 떠안기는 방안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정책 목표에 대한 문제 제기도 나온다. 유정훈 아주대 교수는 "정부가 대중교통 대신 승용차 이용 활성화를 정책 목표로 삼은 게 아니라면 왜 굳이 민자도로의 통행료를 일괄적으로 낮춰 승용차 이용을 권장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