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는 향동 행복주택아파트 전 세대에 미니태양광을 설치·운영하는 리빙랩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고양시]](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22/ffd85f47-f54f-4278-9917-e18e308485e7.jpg)
경기도 고양시는 향동 행복주택아파트 전 세대에 미니태양광을 설치·운영하는 리빙랩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고양시]
지자체 ‘2050 탄소중립’ 경쟁
고양, 축구장 9개 크기 태양광 설비
울산, 해상풍력을 대표산업 육성
전남은 염전에 태양광발전 확대
환경공단 “탄소제로 지역 역할 중요”
![경남 창원시가 내년 1월 도입하는 쓰레기 수거용 수소트럭. [사진 창원시]](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22/297169e3-a7e0-44c5-ac50-a030336d8f82.jpg)
경남 창원시가 내년 1월 도입하는 쓰레기 수거용 수소트럭. [사진 창원시]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2050 탄소중립’ 선언을 계기로 지방자치단체들의 탄소배출 저감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역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감축 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이겠다는 이유에서다. 17개 광역지자체와 63개 기초지자체는 지난 7월 지방정부 실천연대를 발족하고 탄소중립을 선언하기도 했다.
특히 인구가 많은 대도시나 산업시설이 밀집한 지자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고 있다. 인구 100만명을 돌파한 경기 고양시는 지난해 말부터 파리기후변화협약 이행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특히 올해 말까지 건물과 도로, 주차장 부지 등을 활용해 축구장 9개 면적의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는 등 에너지 전환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배출 전망치(BAU) 대비 32.8%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이재혁 고양시 기후환경국장은 “분기별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표를 산정하고 목표를 얼마나 이행했는지 점검하고 있다”며 “지금보다 더 많은 예산이 투입돼야 탄소중립으로 가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 사업 사례 지역.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전라남도는 염전 부지를 활용해 농지태양광 시설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전남은 국내 염전 가운데 약 85%가 밀집돼 있다. 또 서해 등에 바다숲을 조성해 최근 심화하고 있는 바다 사막화를 막고 100만t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도 동해에 세계 최초이자 최대 규모인 1GW급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등 해상풍력발전을 제2의 조선산업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이 구호에 그치지 않으려면 지방정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연희 이클레이(ICLEI,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 한국사무소장은 “그동안에는 중앙정부가 정책을 세우고 지방정부는 그 정책을 실천하는 파트너였지만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이 방식부터 바꿔야 한다”며 “지방정부 단위에서 여러 혁신적 정책이나 실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도 지자체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점검을 컨설팅하고, 지역 여건을 고려한 감축 사업을 발굴하는 등 지자체가 기후변화 대응 능력을 키우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한국환경공단 조강희 기후대기본부장은 “문재인 대통령이 2050년 탄소중립 비전을 선언하면서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역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며 “내년에도 지역 맞춤형 탄소중립계획이 차질없이 마련되도록 실무 컨설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