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장관 후보자 사상 최초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연 변창흠 국토부 장관 후보자. 사진: 국토부
장관 후보자 첫 온라인 간담회
국회 인사청문회 전 사상 최초
"준공업지 공공개발해 공급"
이날 간담회는 국회의 인사청문회 전에 진행된 사상 첫 장관 후보자 간담회다. 변 후보자는 “국회에서 아직 동의를 받지 않은 후보자 신분으로 공개 석상에서 정책 이야기를 한다는 것에 대해 적지 않은 부담이 있지만, 주택 시장의 안정을 바라는 국민의 바람이 크고 기자단의 요청이 있어 응했다”고 밝혔다. 변 후보자의 비전과 정책 방향을 이슈별로 살펴봤다.
도심 내 공급= 공공임대+공공자가주택
변 후보자는 “서울의 공급 부지는 많다”고 진단했다. 서울의 역세권 및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에 대한 규제 완화를 통해 고밀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세운상가에서 바라본 을지로 일대의 모습.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18/be1d9c34-4dbc-4678-85dc-d0866dc0a792.jpg)
세운상가에서 바라본 을지로 일대의 모습. [중앙포토]
단 개발에 공공디벨로퍼가 참여하는 방식이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재건축과 공공재개발의 형태다. 개발이익을 토지주와 지역공동체 및 세입자 등에게 적정 배분하고 공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렇게 공급되는 주택의 유형은 공공임대와 더불어 공공자가주택이다. 집을 팔 때 공공에 팔아야 하는 환매조건부 분양주택, 공공이 땅을 소유하는 토지임대부 주택, 공공과 지분을 공유하는 지분공유형 주택이다.
변 후보자는 “전세금 정도만 가지고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게, 금융 규제로 인해 자가주택 매입시장에 진입하지 못한 계층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공공자가주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주택의 도심 공급에는 긍정적이다. 하지만 방법론에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도심지 땅은 대부분 민간 소유라 적절한 인센티브 없이 활성화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 공공과 민간의 시너지를 어느 정도 끌어낼 수 있느냐와 속도가 정책의 실효성의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민간 재건축ㆍ재개발 규제 완화= 부정적
![정부는 지난 6.17 대책 때 아파트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관리 강화했다. 재건축 단지가 모인 서울 양천구 목동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18/422f789a-01a6-4e07-b094-431d4376368f.jpg)
정부는 지난 6.17 대책 때 아파트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관리 강화했다. 재건축 단지가 모인 서울 양천구 목동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그러면서 재건축·재개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공공이 추진하는 방식을 꼽았다. 문 정부가 밀고 있는 공공재개발과 공공재건축이다. 변 후보자는 “주민이 원할 경우 공공이 선(先)투자하거나 도시계획절차를 간소화해 민간이 맡기 어려운 역할을 공공이 추진한다면 사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규제 완화로 불거지는 특혜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세난 대책= 매입임대, 호텔ㆍ상가 리모델링 통해 공급
조정대상 지역 확대= 불가피

이 밖에도 변 후보자는 “통계 부분부터 명확하게 해서 주택 수가 아니라 방 숫자와 평형, 유형 등 구체적 통계를 갖고 정부 정책을 집행하겠다. 팩트에 대해서 논란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김해 신공항 관련해서는 “현재 국토부가 국무총리실 검증보고서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취임한다면 꼼꼼히 들여다보고 법적인 해석이나 실행방안 등 후속계획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은화 기자 onhwa@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