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버가 자율주행 사업부문(ATG)을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로라에 매각하기로 했다. 미래 차 분야 스타트업들의 이합집산이 가속화하면서 많은 기업에 투자 중인 현대자동차그룹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미국 워싱턴 DC에서 시험주행 중인 우버의 자율주행 차량. AFP=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미국 CNBC,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미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인 오로라가 우버의 자율주행차 사업부문인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 그룹(ATG)’을 인수하기로 했다. 우버는 2015년 이후 ATG에 10억 달러(약 1조원)가 넘는 투자를 단행해 왔다. 일본 소프트뱅크의 투자를 받으면서도 ATG만은 매각하지 않고 버텼다. 카 헤일링(차량 호출) 분야를 넘어 자율주행 택시인 ‘로보택시’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하겠다는 목표 때문이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사업 분야를 매각하라는 주주들의 요구가 거세진 게 ATG 매각의 배경이다.

ATG에 지분 투자한 도요타는 오로라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전망이다. 기존 투자자인 현대차그룹과 미묘한 긴장 관계가 빚어질 수 있다. 올초 CES 2020에서 기조 연설하는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 최고경영자(CEO). AFP=연합뉴스
오로라에 도요타 입김 커진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오로라에 전략적 투자(액수는 미공개)를 하면서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협업하기로 했다. 문제는 이번 ATG 인수로 오로라의 이해 당사자가 많아졌다는 점이다. 일본 소프트뱅크와 도요타가 보유한 ATG 지분은 오로라의 ATG 인수 이후 주식 교환 비율에 따라 오로라 지분으로 환산한다. 소프트뱅크와 도요타가 오로라의 주주로 참여하게 된 셈이다. 당장 이번 매각과 관련해 실리콘 밸리에선 “오로라가 도요타와 덴소(도요타 계열 자동차 부품회사)의 생산 설비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한다.

오로라의 자율주행시스템인 ‘오로라 드라이버’가 장착된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넥쏘가 시험 주행을 하고 있다. 사진 현대자동차
우버 엘리베이트도 매각 가능성
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 소비자가전 전시회(CES)에서 현대차는 우버 엘리베이트와 UAM 기체를 공동 개발하고, 에어 택시 분야에서 협업한다고 발표했다. 협력 관계가 달라질 것은 없지만 ‘주인’이 바뀐 셈이어서 역시 셈법은 다소 복잡해졌다.
이런 이합집산은 고성능 전기차 분야도 마찬가지다. 현대차그룹 지난해 크로아티아의 전기 하이퍼카(초고성능 자동차) 스타트업 리막에 8000만 유로(약 1050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현대·기아차를 합쳐 13.7%의 지분을 확보했는데, 리막에 관심을 보이는 회사가 현대차그룹뿐이 아니란 게 문제다.

현대자동차가 올 초 CES 2020에서 발표한 개인용 비행체(PAV) S-A1. 현대차는 우버의 에어택시 사업부문인 우버 엘리베이트와 이 기체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 사진 현대자동차
"현대차, 실리 챙기는 투자를"
모빌리티 업계의 이합집산은 이미 예상됐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현대차가 실리를 챙기고 ‘집중과 선택’을 더욱 정교하게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차두원모빌리티연구소 차두원 소장은 “전기차나 자율주행차 같은 미래 차 분야에서 대규모 연합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대차그룹의 가장 큰 숙제”라며 “투자를 한 기업들의 이해 당사자가 늘어날수록 실리를 챙길 수 있는 협상과 집중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의선(왼쪽 두 번째)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지난해 5월 전기 하이퍼카 업체 리막을 찾아 마테 리막(왼쪽 네번째) CEO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폴크스바겐그룹에 이어 리막의 두번째 대주주다. 사진 현대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