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농협은행 본점 전경
농협은행 명예퇴직 147명 늘었다
농협은행은 올해 명예퇴직 보상을 대폭 늘렸다. 작년에는 만 56세 직원에게 월평균 임금 28개월 치, 10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인 직원에게 20개월 치를 일괄 지급했다.
올해는 만 56세(1964년생)인 직원은 월평균 임금의 28개월 치를 지급하고 1965년생과 1966년생은 각각 35개월, 37개월 치 임금을 퇴직금으로 줄 예정이다. 이어 3급 이상 직원 중 1967∼1970년생은 39개월 치 월평균 임금, 1971∼1980년생은 20개월 치 임금을 각각 명예퇴직금으로 지급한다.
농협은행은 올해 전직 지원금도 추가로 지급하기로 했다. 만 56세 직원은 전직 지원금 4000만원과 농산물 상품권 1000만원을 지급하고 만 48∼55세 직원은 농산물 상품권 1000만원을 준다.
SC제일은행도 지난 2일까지 명예퇴직 신청을 받은 결과 수십 명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SC제일은행은 상무보 이하 전 직급 중 만 10년 이상 근무한 만 55세(1965년 이전 출생) 행원을 대상으로 최대 38개월 치 임금을 명예 퇴직금으로 준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또 올해 퇴직 대상자에게는 취업 장려금 2000만원, 자녀 1인당 학자금 1000만원씩 최대 2명을 지원한다.
모바일 뱅킹 대세…“인력 조정 불가피”
한 4대 은행 관계자는 “더 많은 퇴직금을 주고라도 직원들을 내보내야 한다는 게 사측 입장”이라며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좋은 실적을 냈기 때문에 오히려 지금이 명예퇴직을 늘릴 적기라고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모바일뱅킹이 대세가 되면서 인력 감축은 피할 수 없는 숙제가 됐다는 설명이다.
최근 몇 년간 은행 직원 수는 지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신한·국민·하나·우리·SC제일·한국씨티 등 6개 시중은행 직원 규모는 2016년 총 7만4106명에서 2017년 6만9830명, 2018년 6만7581명으로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6만7781명으로 소폭 늘었지만, 비정규직의 증가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
신규 채용도 축소하는 추세다. 올해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기업 등 6대 은행에 새로 입사한 인원은 2000명가량으로 지난해(2779명)보다 30% 정도 줄었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