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의 한 상가에 재난지원금 사용 가능 안내문이 붙어있다. 뉴스1
3일 안도걸 기획재정부 예산실장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국회에서 3조원을 확보했지만, 추가 대책이 나오면 추가적인 재원을 또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가 ‘플러스알파(+α)’로 재원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회는 지난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확산에 따른 피해 지원 항목으로 예비비 3조원을 편성했다.
정부는 3차 재난지원금을 더 키우는 데 필요한 재원을 올해 미처 집행하지 않은 2차 재난지원금 예산으로 벌충할 예정이다. 안 실장은 “올해 3조3000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새희망자금을 집행하지 못한 잔액이 있다”며 “이를 보태 내년에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여분의 각종 기금 재원도 3차 재난지원금 예산에 보탤 계획이다.
규모를 키우더라도 2차 재난지원금 예산(7조8000억원)보다는 빠듯한 점을 고려해 3차 지원금은 정부 집합금지·제한 조치로 피해를 본 업종에 선별 지급될 예정이다. 안 실장은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인해) 소상공인 중심으로 해서 피해가 늘지 않겠냐”며 “피해에 정부가 대비하기 위해서 1차적 재원을 확보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년 2월 설 연휴 전에 3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연합뉴스TV에 출연해 “실질 지원 대상은 피해 정도를 분석한 뒤에 선정하겠으나 지난번 소상공인 새희망자금을 지원한 사례를 참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3차 재난지원금 세부 사항과 지급 시기에 대해 홍 부총리는 “(내년) 1월까지 구체적으로 검토해 2월, 설 연휴 전까지는 지급되는 것을 목표로 준비할 것”이라고 했다.
내년도 예산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구매 예산이 9000억원 증액된 것과 관련해 홍 부총리는 “조기에 백신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접종 우선 순위자인 의료진이나 만성질환자ㆍ취약계층 등에 대한 접종 실시 계획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대해 홍 부총리는 “마이너스(-) 1% 전후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