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정세균 국무총리, 노영민 비서실장과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30/8d5c686a-d859-4669-aa26-522349b6a336.jpg)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정세균 국무총리, 노영민 비서실장과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 관계자에 따르면 정 총리는 문 대통령에게 “두 사람의 갈등으로 정국 운영에 큰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 윤 총장의 자진 사퇴가 바람직하지만, 물러나지 않는다면 추 장관과의 동반 사퇴 방안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저도 고민이 많습니다”라고 답변했다고 한다.
정 총리는 지난 4일 국회 예결위에서 “불필요한 논란이 계속된다면 총리의 역할을 마다하지 않겠다”며 ‘추ㆍ윤 갈등’ 국면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시사했다. 지난 13일에는 청와대 김외숙 인사수석을 따로 불러 윤 총장의 거취와 관련한 구체적인 절차 등을 보고받았다.
이와 관련 정 총리 측근 인사는 “2일로 예정된 법무부 징계위원회에서 윤 총장에 대한 징계 결정이 내려질 경우 윤 총장의 거취를 결정하는 것은 온전히 문 대통령의 몫”이라며 “정 총리가 이날 문 대통령에게 관련 건의를 한 배경은 문 대통령의 부담을 줄이는 차원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7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왼쪽)은 윤석열 총장 직무정지와 관련해 검사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판사 불법사찰 문건의 심각성과 중대성 등을 고려해 조치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날 서울 서초동 대검 앞에는 윤 총장을 응원하는 대형 배너가 세워졌다. 연합뉴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