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후월드]
![지난 2일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 2기 내각에서 뉴질랜드 최초 여성 외무장관에 임명된 나나이아 마후타(50). 마후타는 마오리족 출신 의원이자, 얼굴에 문신한 최초의 여성의원이다. [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885d7dc6-059c-4847-aaa5-f1b9fa654bdf.jpg)
지난 2일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 2기 내각에서 뉴질랜드 최초 여성 외무장관에 임명된 나나이아 마후타(50). 마후타는 마오리족 출신 의원이자, 얼굴에 문신한 최초의 여성의원이다. [AFP=연합뉴스]
뉴질랜드 의회로 간 마오리족 왕가의 후예
마오리족 대표 정치인인 로버트 마후타는 1990년대 뉴질랜드 정부와 원주민 토지 보상 문제를 최초로 해결한 지도자로 손꼽히는데요. 마후타도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학창시절부터 마오리인의 목소리를 대변해왔습니다.
마후타는 1996년 26세에 뉴질랜드 노동당 의원으로 정치인의 삶을 시작했습니다. 당시 뉴질랜드 여성 의원으로는 최연소였습니다. 이후 24년간 9선 의원이자 관세청 장관, 청소년부장관, 지방정부 차관을 거치며 청소년과 여성, 원주민 문제를 해결하는 정치인으로 입지를 다졌습니다.
얼굴에 문신하고 등장한 첫 여성 의원
마후타는 4년 전 마오리 전통 얼굴 문신인 ‘모코 카우에(moko kauae)’를 턱에 새기고 의회에 출석해 모두를 놀라게 했습니다. 마오리족에게 문신은 신의 능력과 생명력을 의미합니다. 모코 카우에는 마오리인 중에서도 족장과 그의 가족, 전사들만 할 수 있는데요.
![마후타는 2016년 마오리족 전통 얼굴 문신인 모코 카우에를 얼굴에 새기고 의회에 등장해 주목받았다. [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7312230b-40df-4f7d-b962-6496098a4a8a.jpg)
마후타는 2016년 마오리족 전통 얼굴 문신인 모코 카우에를 얼굴에 새기고 의회에 등장해 주목받았다. [AFP=연합뉴스]
하지만 마후타는 의연했습니다. 그는 “마오리족 조상에게 경의를 표하는 동시에 ‘마오리족은 범죄 조직’이라는 오명을 벗고 싶었다”며 “미래를 위해 옳은 일이라 판단하고, 행동으로 옮겼을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마후타에게 문신은 ‘인생의 나침반’ 같은 존재입니다. 문신을 새기면 자신을 돌아보는 동시에 가족과 타인을 대하는 방식에 더 신경 쓰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가슴과 어깨에도 문신을 새겼는데요. 각각 아버지의 죽음을 애도하고, 고모를 존중하는 마음을 담았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양발 등에 두 아이 이름의 유래인 마오리 신(神) ‘타니와’(taniwha)도 새겼다고 하네요.
아이 잃은 엄마의 마음으로
![마후타는 현재 10세, 7세인 두 아이의 엄마이기도 하다. 출산 직후 ″엄마로서 역할을 다하지 못하면 유권자로 남겠다″며 아이에게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b5ce31dc-2a69-417c-94d4-5e83136ee99c.jpg)
마후타는 현재 10세, 7세인 두 아이의 엄마이기도 하다. 출산 직후 ″엄마로서 역할을 다하지 못하면 유권자로 남겠다″며 아이에게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AP=연합뉴스]
일 년 뒤 둘째 아이를 낳으면서 아이에게 무한 애정을 쏟았습니다. 출산 후 의회 복귀 전 “엄마로서 역할에 소홀해진다면 나는 과감하게 유권자로 남겠다”고 선언까지 했죠.
마후타는 두 아이의 엄마이자 일하는 여성으로, 또 한 부족을 대표하는 정치가이자 왕가의 후손으로 주어진 역할을 무난히 수행했습니다. 아이를 낳은 뒤 세상을 보는 관점이 바뀌었다는 그는 “일인 다역을 하면서 강한 유대관계와 공동체 의식으로 전 세대를 아우르는 법을 배웠다”고 말했습니다.
유리천장 깬 외무장관, 오자마자 중국에 직격탄
![나나이아 마후타 뉴질랜드 외교장관(왼쪽)과 저신다 아던 총리. [AFP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04eabdb0-a91a-4125-b4b7-00d803bf0920.jpg)
나나이아 마후타 뉴질랜드 외교장관(왼쪽)과 저신다 아던 총리. [AFP =연합뉴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에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 부드럽지만 카리스마 있는 관계 형성 능력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아던 총리의 판단이 적중한 걸까요. 마후타는 임명 직후 파격 행보를 걷고 있습니다. 지난 19일 중국의 홍콩 야당 의원 의원직 박탈 문제를 지적하는 파이브 아이즈(Five Eyes, 미국·영국·호주·캐나다·뉴질랜드)의 공동 성명에 동참하면서인데요. 전통적 동맹국인 미국과 최대 교역파트너인 중국 사이에서 중립을 지켜온 뉴질랜드의 과거 태도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눈 찔리지 않게 조심하라”는 중국의 반발에도 마후타는 동요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중국을 향해 “서로의 견해를 명확하게 존중할 필요가 있다”며 “뉴질랜드는 규모 면에서 중국과 비교할 수 없지만, 독립적인 외교정책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뉴질랜드는 자국 스스로 가치와 원칙을 지켜나갈 것이고, 지구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역할을 다하겠다”라고도 덧붙였죠. 마후타는 최근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뉴질랜드의 관계가 이 정도 의견 차이도 견디지 못할 만큼 미성숙하지 않다”라고도 했습니다.
![지난 2일 나나이아 마후타 신임 뉴질랜드 외무장관이 저신다 아던 총리 2기 내각 발표 자리에서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c16bf129-1865-421d-b970-700a7991d2a7.jpg)
지난 2일 나나이아 마후타 신임 뉴질랜드 외무장관이 저신다 아던 총리 2기 내각 발표 자리에서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뉴질랜드의 외교 전문가들은 앞으로 미국과 중국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미세한 균형 외교가 제일 큰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마후타가 그 역할을 충분히 해낼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데요.
“똑똑하고, 명확하며, 기민한 정치가”, “고도의 숙련된 정치가”라는 뉴질랜드 정계의 평가처럼 마후타가 앞으로 혁신적인 외교 관계를 이끌어 갈 수 있을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 [후후월드]는 세계적 이슈가 되는 사건에서 주목해야 할 인물을 파헤쳐 보는 중앙일보 국제외교안보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