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초등 돌봄 전담사 절반가량이 8시간 전일제 근무 전환과 지방자치단체의 돌봄 책임을 강화하는 '온종일 돌봄법' 철회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간 지난 11월 6일,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돌봄교실 불이 꺼져 있다. 연합뉴스
돌봄전담사들이 소속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는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열린 1차 협의체 회의를 통해 교육당국과 입장 차를 재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학비연대 측은 "24일 교육당국과 협의체 회의를 진행했지만 최소한의 문제해결을 위한 제안이나 방향성도 제시하지 않았다"면서 "시·도교육청은 학교돌봄 지자체 이관을 다시 거론해 문제 해결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조합원들이 25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초등돌봄 운영개선 협의체 결과 브리핑 및 2차 돌봄파업 날짜 확정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들은 지난 6일 전국 돌봄전담사 1만1859명 중 4902명이 참가한 가운데 1차 총파업을 진행했다. 당시 교육부는 돌봄노조,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외에 17개 시도교육청이 함께 참여하는 돌봄교실 논의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따라 열린 1차 협의체 회의에서는 돌봄전담사 근무 여건 개선 방안과 교원 업무 경감 방안 등이 논의됐지만 핵심 현안에 대해서는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학비연대 측은 밝혔다.

전국 초등 돌봄 전담사 절반가량이 파업에 들어간 지난 11월 6일 부산시 부산진구 가남초등학교 돌봄교실에서 돌봄 전담사를 대신해서 교감선생님이 학생들을 돌보고 있다. 연합뉴스
돌봄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학부모들은 2차 파업 예고에 우려를 나타냈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초3 학부모는 "1차 파업 때도 급하게 연차를 썼는데 이틀간 또 파업을 한다는 것이냐"며 "매번 학생과 학부모만 피해를 본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교육부는 12월 1일로 예정된 2차 협의체 회의를 통해 해법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돌봄전담사의 근무시간 연장과 교원의 돌봄 업무 경감에 대해 문제 의식을 공유했다"며 "2차 회의에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gae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