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 명동의 한 가게에 임시 휴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24일부터 2단계로 격상된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4/5ff3b699-ffd3-4b8e-b378-911efb18e93e.jpg)
23일 서울 명동의 한 가게에 임시 휴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24일부터 2단계로 격상된다. [연합뉴스]
올해만 세번째 경기추락 가능성
내수 그로기 상태속 코로나 또 유행
기대했던 연말특수도 물 건너가
정부 5차 추경 현실적으로 불가능
전문가 “지원금보다 장기전 대비”
방역은 물론 경기 측면에서도 1·2차 때보다 3차가 위험 요인이 더 많다. 1년 가까이 이어온 코로나19 위기에 내수 경기는 ‘그로기’ 상태다. 마지막 기대를 걸었던 연말 특수는 이미 물 건너간 상황이다.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가계 소비 지출은 이미 움츠러들었다. 정부 지원금 증가에도 불구하고 3분기 가계지출은 전년 동기대비 2.2% 감소했다.
수출 역시 여전히 불안하다. 1∼20일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1% 늘었고, 일평균 수출액은 7.6% 증가했다. 그러나 미국·유럽 등에서도 코로나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어 본격적인 수출 회복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코로나19 3차 확산에 ‘트리플딥’ 위기.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하지만 총선을 앞두고 뿌려졌던 1차 재난지원금처럼, 내년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둔 정치권의 압박은 오히려 커지는 분위기다. 벌써 3차 재난지원금 띄우기에 나섰다. 이재명 경기도지사(20일)에 이어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23일)도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좋지 않겠나”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총선 때문에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나눠줬는데 사실상 필요 없는 고소득층 지원에 재정을 쓴 셈이었다”며 “정치적 논리가 아닌 전문가 중심으로 일관된 방역 경제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 진단은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는 쪽으로 기운다. 재난지원금을 통한 섣부른 소비 진작책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은 경제보다 방역이 우선”이라며 “코로나19 초기처럼 ‘락다운(전면 봉쇄)’ 상황이 또 오면 (경기 추락을) 다시 통제 못 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일회성 지급을 반복해선 안 된다는 주장도 뒤따랐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전 지원 정책은) 효과가 떨어졌다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고, 특히 대면 소비가 어려운 상황에서 재난지원금 같은 직접 지원 방식은 한계가 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걸 고려해서 적정 규모의 재정을 경제적 취약층을 대상으로 선별 지원하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세종=조현숙·김남준 기자 newear@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