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태연 시인이 18일 상암동 중앙일보 스튜디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마지막 시집 『안녕』 쓸 때 ‘야, 그만 쓰자’ 했던 이유엔 ‘언제까지 첫사랑 팔아먹고 살래’ 이런 것도 있었어요. 이번에 18년 만에 쓰면서도 내가 옛날처럼 써도 웃기는 것 아니냐, 생각했죠.”
1992년 첫 시집 『넌 가끔가다 내 생각을 하지 난 가끔가다 딴생각을 해』, 『손끝으로 원을 그려봐 네가 그릴 수 있는 한 크게 그걸 뺀 만큼 널 사랑해』 등 90년대 펴내는 시집마다 100만부 넘게 팔리며 ‘사랑 시’로 인기 누린 원태연(49)이 18년 만에 새 시집으로 돌아왔다. 기존 대표시 70수에 새로 쓴 30수를 더해 지난 10일 낸 필사시집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북로그컴퍼니)다. 2002년 시집 『안녕』을 끝으로 “시인이길 포기했던” 그다. 시 쓰는 고통을 잊고 너무 쉽게, 기계적으로 쓰는 자신을 발견하고 괴로웠던 것도 이유였다. 이후 권상우‧이보영 주연 멜로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2009)의 각본을 겸해 연출 데뷔한 영화감독으로, 유미의 ‘사랑은 언제나 목마르다’, 샵 ‘내 입술...따뜻한 커피처럼’, 백지영 ‘그 여자’, 허각 ‘나를 잊지 말아요’ 등 히트곡 작사가로 활동반경을 넓혔던 그는 드라마 작가에도 도전했지만, 지난해 고배를 맛봤다.
1990년대 밀리언셀러 시인·작사가 원태연
18년 만에 새 시집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
18년 만에 시인 복귀 "다시 찾은 나"
- 어떻게 시로 돌아왔나.
그는 “멋있게 컴백하고 싶었는데 정반대 상황에서 시를 쓰는 내가 우스워 보였지만 그나마 독자들한테 결례를 안 하는 방법은 옛날에 썼던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었다”면서 “그 느낌을 잡는 게 한참 걸렸다”고 했다. “대본 쓰고 가사 쓸 때 하도 ‘컨펌’을 받다 보니 내가 나를 안 믿게 돼 버렸다. 문체가 엉망진창이 돼있었다”고 돌이켰다. 또 “그냥 뭐 없어질 뻔한 존재였는데 뭐가 창피해, 이러면서 쓰고 있다”고 시작(詩作)의 의지를 내비쳤다.
시 쓰는 법 생각 안 나 무서웠죠
![원태연 시집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 [사진 북로그컴퍼니]](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19/3bd9f06d-b41b-4f60-8981-81280e704b25.jpg)
원태연 시집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 [사진 북로그컴퍼니]
사랑하는 이에게 말을 걸듯 쉬운 일상용어로 쓴 그의 시는 문단에선 외면받았지만 대중적 사랑을 누리며 ‘원태연 풍’ 아류작까지 양산한 터다. 이번 신작은 그런 감성을 되살리되 유독 이별 후를 그린 것이 많다. ‘사실 난 나를 잘 모르거든…… 그래서 니가 날 좀 읽어줬으면 좋겠어……//천천히/오래오래/또박, 또박’이라 쓴 시 ‘사랑이란 2’는 오랜만에 재회한 독자에게 건네는 말 같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이 욕먹은 시인

원태연은 이번 시집을 계기로 계속 시를 써나가겠다고 의지를 내비쳤다. 요즘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에세이도 쓰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제가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이 욕먹은 시인이잖아요.” 그는 “비난과 찬사를 함께 받을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원태연’이 돼버렸다”면서 “‘선생님’ 소리를 스물둘부터 들었다. 시도, 노래 가사도 쓰기만 하면 히트하는 줄 알고 겸손의 뜻을 몰랐다. 그 예전의 내가 지금은 창피하다”고 돌이켰다. 다만, 자신의 시에 대한 문단의 저평가에 대해선 "나는 그렇게 생각 안 한다”고 말했다.
50대의 시 "멋있는 남자의 시 되길"
”
- 내년이면 쉰이다. 50대 원태연의 시엔 무엇을 기대하나.
나원정 기자 na.wonje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