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전 10시 서울 중랑구의 한 주택가에 불법주차된 차량들 [사진 독자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18/bde73f54-72ab-406e-80be-81277ee6304b.jpg)
18일 오전 10시 서울 중랑구의 한 주택가에 불법주차된 차량들 [사진 독자 제공]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 앱’으로 불법 주정차한 차량의 사진만 찍어 보내면 신고를 접수하는 시스템을 17일부터 운영 중이다. 이미지 속 번호 인식 기술과 빅데이터 기술이 접목됐다. 이전에는 차량번호, 민원유형 등 6단계를 일일이 입력해야 했다.
이번 시스템은 "신고가 절차가 복잡해 차주와 다툴 수 있다"는 민원을 반영한 것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2년 전부터 일부 시민이 "빨리 신고하고 현장을 떠나야 차주와 마찰이 없다" "바쁘더라도 꼭 신고하고 싶다"는 민원을 접수했다고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신고하려는 시민과 차주가 다투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며 "민원을 접수해 시스템을 개선한 것"이라고 말했다.
"주차장 확보부터" VS "불법주차 신고는 당연"
![서울시는 '서울스마트 불편신고 앱'을 개선해 사진 촬영으로 간단히 불법주차를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자료 서울시]](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18/121a1765-78e1-4e08-95ab-9f4c02eb4acd.jpg)
서울시는 '서울스마트 불편신고 앱'을 개선해 사진 촬영으로 간단히 불법주차를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자료 서울시]
신고 제도에 긍정적인 시민도 있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허모(30)씨는 "신고제는 비인간적인 측면이 있지만 정해지지 않은 곳에 차를 대면 당연히 안 되는 것 아니냐"고 했다. 서울 양천구에 사는 정모(30)씨도 "비싼 주차료를 내기 싫어 불법주차를 하는 사람은 신고 당해야 한다"며 "사설주차장을 포함하면 주차공간은 넉넉하다"고 말했다.
주차 공간 확보 시스템으로 풀어야

지난해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일대 불법 주·정차 단속 현장. 연합뉴스
모창환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주차 문화가 선진국보다 부족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모 연구위원은 "한국의 경우 개인 주차공간이 없는 사람도 차를 살 수 있다"며 "차고지증명제를 도입해 차량 구매단계에서 차주 1인당 주차공간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선진국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도 주차비를 낸다"며 "주차를 무료로 할 수 있다는 인식 자체도 문제"라고 했다.
편광현 기자 pyun.gwangh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