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 울주군 새울원전본부에 위치한 신고리 3,4호기. 사진 한국수력원자력
울산 “원전 중간에 위치 최적지” 주장
앞서 지난 2일 국민의힘 황보승희 의원(부산 중·영도구) 등 국회의원 14명은 서울에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지방이전을 명시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 발의했다. 이 법률안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소를 원전에서 30㎞ 이내의 지역으로 한정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국수력원자력이 운영하는 원전은 국내 5곳(월성·한울·새울·한빛·고리)으로 경북 경주와 울진, 울산 울주, 전남 영광, 부산 기장에 있다. 울산 울주군에는 지난해 새울원전본부에서 관리 중인 신고리 3·4호기가 모두 준공된 데다 2023년과 2024년 준공 목표로 신고리 5·6호기 공사가 한창이다.
따라서 울산지역 5개 구·군이 원전 반경 30㎞로 설정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에 포함된다. 울산을 중심으로 보면 남쪽으로 부산 고리원전과 북쪽으로 경주 월성원전이 위치해 있는 등 원전 밀집도도 높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은 항상 방사능재난의 위험에 상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고리 및 월성 원전의 중간에 위치해 있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등 원안위의 이전 장소로는 최적화된 곳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원안위는 국무총리 소속 차관급 독립위원회로 산하기관으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등을 두고 있다.
현재 부산 기장과 경북 경주 등이 원안위 유치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면서 유치활등을 펼치고 있다. 기장군은 “원안위 이전 추진을 위해 부지 무상 제공을 비롯해 모든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경주시는 “중수로 원전인 월성 1~4호기, 중·저준위 방폐장, 한수원 본사 등 세계 최대 원전 관련 시설 밀집 지역인 경주가 최적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울산=백경서 기자 baek.kyungse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