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지금까지 한 번도 도굴되지 않았던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에서 금동관 등 다량의 장신구가 피장자에 부착됐던 상태대로 발견됐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금동관과 관모 추정 직물.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28/6529d1ec-7a04-40a2-90e3-4a36d98701ba.jpg)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지금까지 한 번도 도굴되지 않았던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에서 금동관 등 다량의 장신구가 피장자에 부착됐던 상태대로 발견됐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금동관과 관모 추정 직물.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도굴꾼의 손을 타지 않은 희귀한 가야 무덤으로 관심을 모았던 경남 창녕 교동·송현동 63호분에서 금동관‧은반지‧은허리띠 등 1500년 전 유물이 와르르 쏟아졌다. 비화가야 최고지배층이었을 무덤 주인의 생전 화려한 차림새 그대로다. 지난 9월 ‘호화 황천길’ 차림으로 큰 화제가 됐던 경북 경주 황남동 신라 고분 발굴에 이어 고고학계의 단비 같은 성과다.
도굴꾼 손 안 댄 ‘0.1% 확률’의 가야 무덤
금동관·은허리띠 등 지배층 차림 원형 출토
“키 155㎝ 여성 가능성” 순장자 2명 흔적도
문화재청 “비화가야 성격 풀어줄 것” 기대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지연)는 28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교동 Ⅱ군 63호분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비화가야 지배자의 꾸밈유물인 금동관을 비롯한 장신구 일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가야 고분 구조상 도굴꾼의 손을 타지 않을 확률은 “0.1%에 불과”(정인태 연구사)한데 이처럼 피장자의 꾸밈유물 일체가 온전히 확인된 것은 창녕 일대 비화가야 고분에선 처음이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63호분에서 발굴된 비화가야 지배층의 착장 유물(왼쪽)과 지난 9월 경주 황남동의 신라 돌무지덧널무덤 120-2호분에서 나온 장신구 유물은 형태나 구성이 거의 같다. 비교 이해를 돕기 위해 문화재청 제공 사진을 나란히 합성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28/0b0f67ef-6efa-4bd1-891f-47068eaa5d1c.jpg)
창녕 교동과 송현동 63호분에서 발굴된 비화가야 지배층의 착장 유물(왼쪽)과 지난 9월 경주 황남동의 신라 돌무지덧널무덤 120-2호분에서 나온 장신구 유물은 형태나 구성이 거의 같다. 비교 이해를 돕기 위해 문화재청 제공 사진을 나란히 합성했다. [중앙포토]
지름 21m의 창녕 교동 63호분은 후대에 축조된 39호분(지름 27.5m)에 가려 도굴 피해를 보지 않은 흔치 않은 가야 무덤이다. 맨 위 뚜껑돌만 비집고 들어가면 유물을 훔칠 수 있는 구조라 창녕 고분은 일제시대 발굴된 이래 숱한 도굴꾼의 표적이었다. 문화재청은 2014년부터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 묘역 가운데 미정비지역(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산5 일원)을 조사해오다 63호분을 발견했다. 지난해 11월 석실을 덮은 대형 뚜껑돌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면서 1500여년 전 조성된 피장자의 사후 공간이 원형 그대로 드러났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 및 주변 고분.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28/aae64a9a-61c5-4fcb-8cc0-ec93818e3851.jpg)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 및 주변 고분.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63호분 석곽 내부는 부장 공간, 피장자 공간, 순장자 공간으로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사진 가야문화재연구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28/fd0587ed-ef7e-4f53-b8a8-c86c47a2ba9c.jpg)
63호분 석곽 내부는 부장 공간, 피장자 공간, 순장자 공간으로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사진 가야문화재연구소]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에서 발견된 유물 중 금귀걸이.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28/181ec82c-75fd-4dd8-a80b-cffe6214a109.jpg)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에서 발견된 유물 중 금귀걸이.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이 “가야와 신라의 접경지역에 위치해 복잡‧다양한 문화가 나타나는 비화가야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다음달 5일 유튜브를 통해 이번 발굴조사에 참여한 단원들이 실시간 댓글로 답변하는 온라인 발굴조사 설명회를 연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