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이용자가 3000만 명이 넘는 ‘카카오’에서 과대광고가 판을 치고 있다. 이용자가 1000만명이 넘는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도 마찬가지였다. 중앙포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의약품·식품·건강기능식품 SNS 과대광고 적발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8년~2020년 6월 적발된 의약품·건강기능식품·식품 과대광고는 7295건이었다.
과대광고가 가장 많이 적발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카카오(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카카오메이커스 등 카카오 플랫폼)였다. 카카오는 식품 1800건, 건강기능식품 489건, 의약품 156건 등 최근 3년간 2445건이 적발돼 SNS 전체 과대광고의 33%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이용자가 3000만 명이 넘는 ‘카카오’에서 과대광고가 판을 치고 있다. 이용자가 1000만명이 넘는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도 마찬가지였다. 온라인 캡처
최근 3년간 과대광고로 가장 많이 적발된 품목은 ‘식품’으로 총 3492건이었다. 다음은 의약품(2805건), 건강기능식품(998건) 순이었다. 특히 적발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다수는 구매대행 등을 통해 수입된 제품으로, 안전평가 등 별다른 인증을 받지 못한 상태였다.
적발된 업체는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을 자가사용 목적으로 신고해 수입한 뒤 다시 판매하거나 통관 시 제품명을 허위로 기재해 들여온 후 판매하는 방법을 썼다. 과대광고가 국민 건강의 실질적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단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인스타 로고. 중앙포토
이어 “AI 기술을 활용, 허위·과장광고를 유형을 등록한 후 자동으로 걸러내는 시스템을 개발·도입하는 등 보다 적극적 대응을 고민해야 한다”며 “카카오 등 SNS 기업 역시 과대광고 차단과 피해 축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태윤 기자 lee.taeyoon@joongang.co.kr